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7.07 21:04 수정 : 2019.07.08 09:52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5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일본 경제보복 움직임 등과 관련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금융위원회

최종구 위원장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달리
거시경제·금융시장 안정돼”

시장 불안심리 있지만 대처에 자신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5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일본 경제보복 움직임 등과 관련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금융위원회
일본의 경제보복 움직임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국내 대출·자본 시장 등 일본계 자금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며 점검에 나섰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은 안정돼 있어 일본이 돈을 안 빌려줘도 얼마든지 다른 데서 돈을 빌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본은 기축통화인 엔화 보유국인데다 한-일 관계 악화 시나리오가 어디까지 전개될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시장엔 여전히 불안심리가 존재한다.

최종구 위원장은 지난 5일 취임 2돌을 맞아 연 기자간담회에서 “일본이 금융부문에서 보복 조처를 할 경우 어떤 옵션(선택)이 가능한지를 점검했다”며 “국내 은행이나 기업에 신규 대출, 만기 연장(롤오버)을 안 해줄 수 있는데 그런다 해도 대처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2008년 금융위기 때만 하더라도 국내 금융권이 신규 차입은 물론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 금융회사 신인도 등 여러 지표를 고려했을 때 일본 동향에 따라 ‘돈줄’이 막힐 우려는 없다는 뜻이다. 최 위원장은 또 “(일본 동향과 관련해) 이틀간 점검을 해봤다”며 “대출,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 송금 제한 등 (보복수단에서) 의미 있는 게 없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금융당국은 정책 금융기관과 민간 금융회사 등을 중심으로 같은 날 대책회의를 열어 국내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의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양국 간 관계악화 시 금융부문에서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 등을 짚어봤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국내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은 기업에 들어온 직접투자 비중이 가장 큰데, 이는 계약에 따라 들어온 자금이어서 외교적 이슈로 하루아침에 큰 변동이 있기 어렵다”며 “일본계 은행이 국내에서 내어준 여신도 대출영업에서 ‘갑’ 위치인 대기업 중심으로 나가서 큰 변동이 있기 어렵다”고 짚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한-일 관계 악화가 금융시장에 끼칠 불안심리 등을 고려해 향후 면밀한 모니터링을 이어갈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자료를 종합하면, 외국은행 지점 형태로 국내에 들어와 있는 4개 일본계 은행이 우리 기업 등에 내어준 대출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18조3천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부터 3분기 연속 대출 잔액이 감소한 것으로 지난해 6월 말(21조2600억원)보다 3조원가량 줄어든 규모다. 하지만 과거에도 이 정도 비율로 대출 잔액이 감소한 적이 있어 아주 드문 일은 아니다. 금융업계는 주식시장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의 방향성도 예의 주시 중이지만, 당장 일사불란한 움직임은 예상하지 않는다. 금감원은 5월 말 현재 일본계 자금이 보유한 상장주식 가치를 외국계 자금의 2.3%인 12조4710억원으로 집계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한-일 관계 악화와 관련해 금융권에 직접적 영향이 단기간에 있을 것으로 보진 않지만, 엔화가 기축통화인데다 금융시장에 불안심리가 있어 상황을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짚었다.

정세라 박수지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