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22일 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한 이재용 삼선전자 부회장(맨 왼쪽부터),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토요판] 리뷰&프리뷰 다음주의 질문
재계 1위인 삼성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삼성에버랜드가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을 인수한 데 이어 삼성에스디에스(SDS)가 삼성에스엔에스(SNS)를 흡수합병했다. 삼성물산은 삼성엔지니어링의 주식을 꾸준히 사들이고 있다. 에버랜드와 삼성에스디에스, 삼성에스엔에스는 모두 이건희 삼성 회장의 자녀들-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이 주식을 갖고 있는 회사들이다. 특히 에버랜드는 삼성 지배구조의 정점에 위치해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한다. 에버랜드의 움직임을 삼성의 3세 승계와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이유다. 삼성 안팎에서는 이미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한 전자와 금융 계열사들을, 이부진 사장이 호텔신라·삼성물산·삼성석유화학 등을, 이서현 부사장이 제일모직·제일기획 등을 각각 나눠 맡을 것이라는 ‘포스트 이건희 시대’의 밑그림까지 돌고 있다. 이런 삼성 3세들의 승계구도가 성사되려면 꼭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 삼성 3세들은 에버랜드를 제외하면 삼성 계열사 지분이 거의 없다. 회사 주식이 없는 사람도 최고경영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삼성 3세들은 전문경영인처럼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지금의 자리에 오른 게 아니다. 과거에는 그룹 총수의 유언만 있으면 이런 게 전혀 문제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에버랜드가 삼성 3세들의 고민을 풀어줄 ‘요술방망이’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삼성 3세들의 에버랜드 지분은 이재용 부회장이 25.1%,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부사장이 각각 8.37%이다. 하나의 가정이지만, 에버랜드가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을 인수했다가, 일정 시점 이후에 별도 회사(이하 제일패션)로 분리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삼성 3세들은 에버랜드와 제일패션 두 회사에 대해 현 지분율만큼 주식을 갖게 된다. 이 부사장은 자신에게 필요없는 에버랜드 지분을 오빠와 언니에게 팔고, 대신 자신에게 필요한 제일패션 지분을 사들이면 손쉽게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삼성이 이런 ‘봉이 김선달, 대동강 물 팔아먹기’식의 방법까지 동원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1990년대 후반 삼성의 2세들이 그랬던 것처럼, 결국 삼성의 3세들도 그룹을 마치 파이처럼 세 조각으로 쪼개서 나눠 갖는 계열분리를 시도할 것이라는 점이다. 비단 삼성뿐만이 아니라 한국의 재벌들은 지난 수십년간 경영세습 과정에서 계열분리를 관행처럼 해왔다. 이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대기업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한국만의 독특한 현상이다. ‘강소기업’으로 불리는 ‘히든 챔피언’은 경제강국 독일을 상징한다. 1300여개에 이르는 히든 챔피언들은 100년 이상 된 기업이 34%에 이를 정도의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또 이들 대다수는 재벌과 유사한 가족소유 경영을 한다. 그래도 히든 챔피언들이 경영세습을 위해 기업을 쪼개서 기업가치를 훼손하는 일은 없다. 한국과 선진국 간의 이런 차이는 어디서 연유하는 것일까? 재벌연구의 권위자인 김진방 교수(인하대)는 “한국은 기업을 총수 일가의 전유물로 여기는 인식이 강하다”고 분석한다. 반면 독일에서는 기업은 사회적 공기로서, 창업자 가족보다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고하다.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자도 생전에 “기업은 규모가 작을 때는 개인의 것이지만 규모가 커지면 종업원 공동의 것이요,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정수 경제부 선임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