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1.08 19:26 수정 : 2006.11.08 19:26

성한용 선임기자

성한용칼럼

범여권의 정계개편 논의에 대해 민심은 대체로 냉담하다. 먹고 살기도 어려운 국민들의 눈에 열린우리당의 통합 신당, 고건 전 총리의 국민통합 신당은 별 차이가 없다. 정계개편은 나라를 망친 정치인들이 자기 살 길을 찾겠다고 몸부림치는 것으로 읽힌다. 실제로 그런 면이 있다.

현재의 정당 지지도를 보면 내년 대선은 한나라당의 승리로 일찌감치 결론이 난 것 같다. 한나라당의 주장대로 열린우리당은 ‘재집권의 망상’을 일찌감치 포기해야 할 판이다. 그런가?

많은 사람들이 정치를 욕한다. 그래도 정치는 중요하다. 어떤 세력이 정권을 잡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이 구체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내가 내야 할 세금’이 달라지고, 일자리가 생겨날 수도 없어질 수도 있다. 전쟁이 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은 1992년 김영삼 대통령을 뽑았다. 그리고 5년 뒤 국가부도 위기를 맞았다. 미국은 2000년 조지 부시를 대통령으로 선택했다. 부시는 명분없는 전쟁을 일으켰고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 정당은 집권하기 위해 존재한다. 여권의 재집권 몸부림을 비판할 수는 있겠지만, 지나치게 매도할 필요는 없다. 내년 12월까지 잘 살펴보고 ‘안되겠다’ 싶으면 그때 가서 안 찍으면 된다.

87년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대선은 대체로 개혁과 보수의 대결이었다. 거기에 지역 갈등 양상이 나타나면서 일정한 법칙이 작동하고 있다.

97년 대선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김대중-김종필 연합’으로 ‘호남’과 ‘충청’이 힘을 합친 것이 컸다. 그리고 ‘영남’을 이인제 후보가 갈라쳤다. 그렇게 해서 39만표(1.3%p)를 이겼다. 2002년 대선도 구도는 비슷했다. 호남이 ‘몰표’를 던졌고,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믿은 충청이 ‘가세’했다. 부산 사람인 노무현 대통령은 영남에서 25.8%(175만표)를 득표했다. 그래서 전국적으로 57만표(2.3%p)를 이겼다. 개혁 세력은 호남과 충청 연합을 기본으로 하고 영남에서도 상당한 표를 확보해야, 겨우 보수 세력과 겨룰 수 있는 구도인 것이다. 이런 구도는 2007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범여권이 통합신당을 만들어도 정권을 잡기는 쉽지가 않다.

열린우리당에서 통합신당파와 재창당파의 대립이 누그러진 것은 이런 구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전당대회에서 표대결을 하다가 당이 깨지는 날에는 재집권 가능성이 사라진다고 본다. 통합신당파에서는 95년 국민회의 창당 방식은 어렵다는 쪽으로 태도를 정리하고 있다. 집단탈당을 하면, 비례대표 의원 23명의 거취가 모호하고, 그리고 경상 보조금과 선거 보조금을 합쳐 230억원에 이르는 내년도 국고 보조금을 포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중진들은 최근 정계개편은 천천히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내년 초 전당대회에서 수임기구를 구성해, 민주당, 고건 신당(추진위), 새로운 정치 세력과 통합 협상을 하겠다는 것이 대략의 구상이다. 노 대통령 탈당 문제는 노 대통령에게 맡기기로 했다. ‘정권 재창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알아서 판단할 것’이라는 얘기다.

배기선 열린우리당 의원은 “우리에게 49%는 소용이 없다. 51%를 모아야 한다. 필요하다면 부지깽이라도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쉽게 분열하지 않는다. 지지자들의 정권 탈환 여망이 워낙 큰 탓이다. 마찬가지로, 범여권의 정계개편은 장기적으로는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의 집권을 원하지 않는 유권자들 때문이다. 2007년 대선은 다시한번 ‘대회전’이 될 것 같다.

성한용 선임기자shy99@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성한용 칼럼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