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피플] 조홍섭의 멍냥이 사이언스
밝은 곳에서 고양이가 동공을 최대한 수축한 모습.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을 이보다 300배 넓게 열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밤낮 가리지 않는 포식자 이처럼 동공 변화가 큰 이유는 고양이가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사냥하는 포식자이기 때문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연구자들이 2015년 육상동물 214종의 눈을 비교하면서 특히 고양이의 눈에 주목한 이유이기도 하다. 고양이뿐 아니라 뱀과 악어에서도 발견되는 길쭉한 세로 형태의 동공은 특히 표적과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람처럼 두 눈이 얼굴 앞쪽에 달려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는 양안 시를 갖춘 데다 세로로 길쭉한 동공이 심도를 높여 먹이 동물과의 거리를 정밀하게 알 수 있다. 같은 고양잇과 포식자인 호랑이와 사자는 왜 사람처럼 동공이 둥글까? 연구자들은 이들이 키가 커 시야가 넓기 때문에 표적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고양이처럼 동공을 늘이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고양이와 달리 ‘가로형’인 염소의 눈동자. 게티이미지뱅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