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영상] 슬픈 생물종의 탄생…‘플라스티쿠스’를 아시나요

등록 2020-05-29 09:59수정 2020-05-29 12:20

[애니멀피플]
5월31일 ‘바다의 날’…플라스틱 800만톤 매년 바다로
심해서 발견된 갑각류 세포서도 플라스틱 성분 검출
지난 3월 일본과 필리핀 사이 마리아나 해구에서 발견된 새로운 심해 갑각류 ‘에우리테네스 플라스티쿠스’. 이 생물종의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이 성분이 발견돼 학명이 플라스틱을 뜻하는 ‘플라스티쿠스’라 붙여졌다. WWF 제공
지난 3월 일본과 필리핀 사이 마리아나 해구에서 발견된 새로운 심해 갑각류 ‘에우리테네스 플라스티쿠스’. 이 생물종의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이 성분이 발견돼 학명이 플라스틱을 뜻하는 ‘플라스티쿠스’라 붙여졌다. WWF 제공
5월31일 바다의 날을 앞두고, 플라스틱 쓰레기 급증은 코로나19 감염증이 불러온 또 다른 재앙이 될 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스크, 비닐장갑, 생수병 등 불가피한 일회용품 사용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한 예로 지난 4월 총선 때 사용된 비닐장갑의 양은 63빌딩 7개 높이로 추산됐습니다. 이러한 플라스틱 비닐이 자연적으로 분해되기까지는 약 500여 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지난 3월에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로 꼽히는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에서 새로 발견된 심해 갑각류마저 플라스틱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안겼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영국 뉴캐슬대학 자연환경과학과 앨런 제이미슨 교수는 이 생물종의 학명을 ‘에우리테네스 플라스티쿠스’(Eurythenes plasticus)라고 붙였습니다. 수심 6천~7천m에서 잡힌 이 갑각류의 소화기관에서는 플라스틱 물병이나 운동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합성화합물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페트·PET)가 발견됐습니다.

플라스틱을 뜻하는 ‘플라스티쿠스’가 이 생물종의 이름이 된 이유입니다. 제이미슨 박사는 “바다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쏟아져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학명에 플라스티쿠스를 붙였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자연기금(이하 WWF)은 플라스틱 폐기물들이 긴 여정을 거쳐 결국 바다로 유입된다고 설명합니다. WWF에 따르면, 영국 등 선진국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들은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재활용되지 않고 소각되거나 야적장에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강으로, 궁극적으로는 바다로 흘러들어 갑니다. 일단 물에 들어가면, 플라스틱 쓰레기는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됩니다. 이것을 해양생물들이 종종 먹이로 착각해 먹게 되면서 ‘플라스티쿠스’ 같은 생물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찍힌 바닷속 플라스틱 쓰레기들. WWF 제공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찍힌 바닷속 플라스틱 쓰레기들. WWF 제공
WWF 독일 해양프로그램 책임자인 하이케 베스퍼는 “에우리테네스 플라스티쿠스는 우리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큰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여준다. 플라스틱은 우리가 숨쉬는 공기, 우리가 마시는 물, 그리고 현재 인간 문명과 멀리 떨어져 사는 동물에도 있다”고 강조합니다.

실제로 2019년 호주 뉴캐슬대학의 발표에 따르면, 연간 800만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됩니다. 이들의 ‘플라스틱의 인체 섭취 평가연구’ 보고서는 한 사람이 일주일간 섭취하는 미세 플라스틱이 양이 신용카드 한장 분량이고, 월간으로 따지면 칫솔 한 개의 무게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