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플라스틱 쓰레기, 소라게에겐 죽음의 유혹

등록 2021-08-12 13:15수정 2021-08-12 21:02

[애니멀피플]
폐기물이 방출하는 화학물질을 먹이 신호로 오인
플라스틱 병을 ‘껍데기’로 착각해 갇혀 죽기도
플라스틱 쓰레기의 화학물질이 소라게에게 먹이 신호로 오인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플라스틱 쓰레기의 화학물질이 소라게에게 먹이 신호로 오인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 애피레터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6buVC3
▶▶ 애니멀피플 카카오뷰 구독하기(모바일용) https://bit.ly/3Ae7Mfn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물의 생존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영국에서는 일회용 빨대와 빈 병, 비닐봉지 등의 폐기물이 동물을 질식 시키거나 몸이 절단하는 것 외에도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11일 영국 헐대학교(University of Hull) 연구팀이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의 화학물질이 소라게에 과잉반응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 비비시 방송이 전했다.

연구팀은 영국 요크셔 해안의 소라게 40마리를 관찰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첨가물인 올레오아미드(Oleamide)를 감지한 소라게들의 호흡율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런 소라게의 반응이 먹이를 찾았을 때의 흥분과 끌림과 유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수석연구원인 잭 그린실즈 박사는 “소라게는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이로 삼는다. 동물의 사체가 부패할 때 올레익애시드(Oleic acid)라는 물질이 발생되는데, 소라게는 이 냄새를 맡고 먹잇감을 찾게 된다. 문제는 올레익애시드의 냄새가 플라스틱의 첨가물인 올레오아미드와 아주 흡사하다는 점”이라고 온라인 매체 인사이더에 설명했다. 소라게가 화학물질을 먹이 신호로 오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소라게가 실제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로 삼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린실즈 박사는 “만약 소라게가 이 물질에 이끌려 먹이 활동을 하고 있다면 에너지 낭비일 뿐 아니라, 플라스틱 쓰레기 자체를 섭취할 가능성도 있다. 이것은 동물에게 심각한 독성을 유발할 수 있고, 해양 생태계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소라게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빈 껍데기로 착각해 안으로 들어갔다 갇혀 죽기도 한다. 사진은 플라스틱 병뚜껑을 껍데기로 삼은 소라게. 게티이미지뱅크
소라게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빈 껍데기로 착각해 안으로 들어갔다 갇혀 죽기도 한다. 사진은 플라스틱 병뚜껑을 껍데기로 삼은 소라게. 게티이미지뱅크

연구자들은 플라스틱이 소라게의 가짜 먹잇감이 되는 것 외에도 불필요한 ‘성적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레오아미드가 소라게의 먼 친척인 청소새우 성 페로몬의 주요 성분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물에게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올레오아미드가 단지 게만을 유혹하는지 다른 생물들도 끌리는지는 계속 조사, 연구되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의 냄새에 이끌려 먹이로 착각하는 사례는 앞서도 관찰된 바 있다. 지난해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거북이가 버려진 비닐봉지의 냄새에 현혹돼 쓰레기를 삼키게 된다는 연구가 발표됐다.(▶관련기사: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오인? 바다거북 ‘플라스틱 냄새’에 끌려)

소라게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대표적 피해 생물이기도 하다. 2019년 호주 태스메이니아대 해양 남극 연구소(IMAS)가 인도양 코코스섬과 남태평양 헨더슨섬에서 소라게의 피해를 조사한 결과, 코코스섬에서는 한 해 약 50만 마리가 죽었고 헨더슨섬에서는 약 6만 마리가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는 주로 고둥이나 소라를 껍데기로 삼는 소라게가 플라스틱을 빈 껍데기로 착각해 들어갔다가 갇히면서 발생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서포터즈 벗3
서포터즈 벗3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