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치 21 “지역아동센터 늘려야”
광주와 전남지역의 초등학생 10명 가운데 1명은 학교가 끝난 뒤 사회나 가족의 보살핌을 받지 못한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치21은 15일 사회 양극화와 교육 빈곤층 조사를 통해 “광주·전남의 초등학생 29만2995명 가운데 8.7%인 2만5743명이 방과 뒤 사회나 가족의 보살핌을 받지 못한 채 가정에 방치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지역은 빈곤 아동 1만3358명 가운데 1440명만 지역아동센터 29곳과 지역사회복지관 19곳을 이용할 수 있을 뿐 나머지 89.3%는 보호자 없이 지내는 실정이다.
전남지역도 빈곤 아동 1만5355명 중 2100명이 30명 안팎을 수용하는 지역아동센터 70곳을 이용하는데 그쳐 86.3%가 방치되는 형편이다.
이렇게 초등학생을 집에 놔두고 학습·놀이·운동·영양 등을 보살피지 않으면 정서장애, 게임중독, 아동비행, 안전사고 등 심각한 상처를 남길 가능성이 높다.
또 광주시의 2004년 가구당 한달 평균 교육비는 52만1천원으로 조사됐고, 10만원 미만은 8.4%, 100만원 이상은 11.2%로 자녀 교육을 위한 지출에 뚜렷한 격차가 나타났다.
다달이 학원수강료나 보충교육비 따위로 들이는 사교육비를 비교하면, 초등학교 졸업 가구주는 6만7천원 대학교 졸업 가구주는 17만3천원으로 가구주 학력에 따라 3배쯤 차이가 났다. 이는 통계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여서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지출을 포함하면 실제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저학력 가구주는 공교육비에 부담을 느끼지만 고학력 가구주는 사교육비가 더 부담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단체는 정부가 빈곤 아동들한테 빈곤정도에 따라 입학금과 수업료, 학교급식비, 연 10만원의 교과서대, 연 2만9천원의 부교재비, 연 4만원의 학용품비 등을 차등 지원하고 있으나, 지원액이 턱없이 적은데다 범주에 들지 못한 학생도 많아 학업을 도중에 그만두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 이중섭 사회연대팀장은 “정부나 자치단체가 교육받을 기회를 제대로 보장해주지 못하면 빈곤은 대물림될 수밖에 없다”며 “학생의 10% 정도는 공교육비마저 부족한 빈곤아동인만큼 충분한 교육비를 지원하고 방과 뒤에도 보살핌을 받을 수 있게 지역아동센터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