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쪽서 특정후보 낙점·담합·등록거부 등 잇따라
전교조 “교육감 선거 겨냥 세불리기·줄서기로 혼탁”
전교조 “교육감 선거 겨냥 세불리기·줄서기로 혼탁”
교육감 선거를 앞둔 광주지역에서 학교운영위원 학부모위원에 제 사람을 심으려는 후보 낙점과 기호 담합 따위 파행이 이어지고 있다.
광주 ㄱ·ㄱ·ㅊ고는 직선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터무니 없는 이유로 교장이 개정안을 발의해 간선제를 밀어붙이고 특정 후보를 낙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ㅇ중에서는 2학년 부장이 특정 학부모위원 후보를 뽑으라는 교장의 지시를 받고 학부모독서회원 20~30명을 중심으로 당선운동을 펼치다 반발에 부닥쳤다.
ㄱ초등에서는 교장이 학부모위원 6명을 미리 확보해뒀다며 후보 등록을 아예 거부했고, ㅁ초등에서는 후보 등록날짜를 애초 6~11일로 고지한 뒤 입지자가 늘자 이를 멋대로 바꾸고 통지조차 하지 않았다.
ㅈ·ㅊ초등에서는 추첨으로 후보의 기호를 결정해야 하는데도 등록순으로 기호를 매기고 앞번호 후보가 학교 쪽에 필요한 인물이라고 소문을 퍼뜨려 담합 의혹을 샀다.
ㅅ초등은 입후보 요건으로 학부모 5명 이상의 추천을 요구해 학부모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입지자들한테 불이익을 주고 학교와 친분이 있는 후보들의 진입을 도왔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제도가 바뀌지 않으면 이번에 뽑힌 학교운영위원들이 8월에 교육위원 7명을 뽑고, 9~10월에 시교육감을 선출한다”며 “학교가 선거 때문에 정치에 휘둘리는 만큼 교육감·교육위원을 직선으로 뽑도록 하는 청원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박정근 이 단체 대변인은 “이런 파행의 배경에는 세력을 확대하려는 교육감 입지자들과 이들한테 줄서기를 하려는 교장들이 숨어있다”며 “학교 286곳의 선출과정에서 34건의 제보가 들어올 정도로 혼탁양상이 심각한 만큼 김원본 시교육감이 행정지도를 철저하게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지역 학교운영위원 3300여명 가운데 학부모위원 1500여명과 교원위원 1200명은 21일까지, 지역위원 600여명은 31일까지 각각 선출된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광주지역 학교운영위원 3300여명 가운데 학부모위원 1500여명과 교원위원 1200명은 21일까지, 지역위원 600여명은 31일까지 각각 선출된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