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관 등 94명…“교육감 입지자에 줄서기” 우려
시교육청 노조 “자진 사퇴해야”
9월 치를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교육청 간부들이 투표권을 행사할 학교운영위원에 무더기로 진출해 눈총을 받고 있다.
광주시교육청 노조는 17일 “지난달 시교육청 간부 공무원들이 학교운영위원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을 엿보여 선거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공식적으로 경고했다”며 “이런데도 장학관과 서기관 등 현직 간부 94명이 무더기로 지역위원에 들어간 데 대해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노조가 확인한 결과, 안현경 교육위 의사국장, 김종범 동부 관리국장, 김용흘 서부 관리국장, 고화석 광주학생회관장, 이근모 학생교육문화회관장, 박정수 교육과학연구원장, 유옥진 시설감리단장이 초·중·고의 지역위원에 뽑혔다.
또 광주시교육청 11과 중 9과, 동부교육청 6과 중 5과, 서부교육청 6과 중 4과 등 대부분의 과장들이 경쟁적으로 지역위원에 나섰다.
교육위원 7명 가운데 윤봉근 장휘국 김희중 손정선 오은열 한연기 등 6명도 학교운영위원에 명함을 내밀었다.
더불어 현직 행정실장 8명, 전직 사무관 이상 11명, 전직 장학사 이상 10명, 학교 납품업체 대표 5명 등도 학교운영위원으로 참여해 영향력을 확보했다.
이는 특정 교육감 입지자한테 미리 줄서기를 해 지지표를 보태준 뒤 인사·납품 등에서 이익을 챙기려는 ‘사전포석’으로 해석되면서 학교운영위가 선거에 휘돌린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키웠다.
노조는 성명을 통해 “현직 간부들이 학교운영위에 대거 참여하면서 불공정 부정선거와 사전 선거운동 등 불법과 탈법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교육자치를 훼손하고 선거를 왜곡할 수 있는 만큼 교육감이 책임있는 조처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성창수 노조 위원장은 “학교운영위를 감독해야 할 장학관과 서기관 등 고위 간부들이 학교장의 도움으로 투표권을 확보한 것은 몰염치한 행태”라며 “이들이 스스로 물러나지 않으면 일대일로 감시활동을 펼쳐 선거개입을 막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어 △현직 간부 자진사퇴 촉구 △직위별 학교별 명단 공개 △시민단체와 연대한 사퇴운동 등을 단계적으로 벌일 예정이다.
반면 시교육청쪽은 법률로 보장된 학교운영위 참여인 만큼 문제될 것이 없다며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