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교사 “임시이사 파견·해직교사 복귀” 요구
등교거부 사태 2일째인 대전 동명중은 26일 전교생 378명 가운데 30여명이 등교해 정상 수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학부모 및 대전권 18개 시민·사회·교육단체로 꾸려진 동명중정상화대책위원회는 이날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 교육청과 학교 재단 쪽이 학부모들이 바라는 임시이사 파견 및 해직교사 복귀 등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등 학교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고 있다”며 “등교 거부에 따른 책임은 모두 시 교육청과 학교 쪽에 있다”며 △임시이사 파견 △해직교사 복귀 △명신학원 이사 전원 사퇴를 촉구했다.
대책위는 “학교와 재단 쪽은 시 교육청 감사에서 수익용 재산 임의처분, 재산변동 미신고, 법인 재산 임의 멸실 등 학교 파행 운영 및 학습권 침해가 드러나 행정 조처를 받았다”며 “시 교육청이 관련 조례 등을 들어 임시이사 파견의 어려움을 밝히고 있으나 지난 1997년 동명중 재단인 명신학원에 임시이사를 파견했다 관련 조례 미비로 소송에서 진 뒤에도 이를 고치지 않고 방치해 사태를 악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이 학교 교사들 16명도 이날 성명을 내어 “재단의 비교육적인 학교 운영으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아이들을 가르치는 보람으로 살아왔다”며 “등교 거부사태로 텅 빈 교실을 바라보는 심경은 참담하다”고 토로했다.
교사들은 “교육청은 조속히 임시이사를 파견하고 해직교사를 복직시켜 학교를 정상화하고 학부모들도 아이들이 학교로 돌아오도록 협조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신호 대전시 교육감은 “학부모들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학생들을 볼모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며 “동명중에 대한 특별 조사를 하고 있으며 결과에 따라 임원 취임 승인 취소 등 강력한 행정 조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동명중 사태는 재단이 올 초 비민주적 학교 운영과 이사진의 학사 개입을 비판한 교사 2명을 ‘교원의 본분에 어긋나는 집단 행동을 했고 직무태만, 품위 손상 등을 했다’며 해임하자 학부모들과 전교조 대전지부가 “학교를 사적 이윤추구의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는 재단 쪽에게 더 이상 아이들을 맡길 수 없다”며 반발해 불거졌으며 25일부터 등교 거부로 이어졌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