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5살이상 전수조사·방문간호…진단·관리 조레 제정도
자치단체가 사회문제로 떠오른 노인층의 치매에 대처하려고 전수조사, 진료지원, 방문관리, 조례제정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시 동구는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올 지방행정혁신 한마당에서 ‘빛고을 은빛 노후관리 사업’으로 기초자치단체 부문의 최우수상을 받았다.
동구는 2003년부터 해마다 1억원을 들여 주민 12만명의 10.5%를 차지하는 65살 이상 노인의 치매질환을 전수조사해왔다. 3년 동안 2155명을 조사해 이가운데 13% 가량인 280여명이 치매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질환의 정도는 48.9%가 기억력 장애를 보인 경도, 39.1%가 문제행동을 나타낸 증등도, 12.0%가 신체증상이 현저한 고도 등으로 나눠졌다.
조사 결과는 자치단체·협력기관·봉사단체에 등록해 협력진료·방문간호·봉사활동 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삼았다.
중증 고도인 환자 77명은 동구보건소에서 방문간호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경도와 중등도 환자는 매주 수·금요일 하루 2~3명씩 전남대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원인을 제대로 찾도록 했다. 이때 들어가는 진단비 70만~80만원은 동구보건소와 전남대병원이 6대4로 나눠 부담하도록 연결망도 짰다.
이어 동구는 지난 24일 치매 환자의 진단과 관리를 법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인 ‘광주시 동구 노인건강 증진 조례’를 공포했다.
내용은 △노인 건강증진 기본계획 수립 △만성퇴행성 질환자 등록 관리 △금연·절주·운동 등 생활실천 △필요한 예산과 인력 확보 등이 핵심이다. 이 조례에 따라 내년 예산에 사업비 3억여원이 편성된다.
박형철 동구 보건소장은 “치매는 원인이 다양하고 불치병으로 잘못 알려져 대부분 가정이 포기하거나 방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고혈압·당뇨·뇌졸중 등이 치매로 전이하거나, 노인우울증을 치매로 오인하는 사례가 많아 제대로 진단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태명 동구청장은 “광주의 옛 도심에 있는 지역적 특성 때문에 공동화와 노령화에 대처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라며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자치단체가 주민한테 해야할 일들을 고민하다 은빛노후관리사업을 착안했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유태명 동구청장은 “광주의 옛 도심에 있는 지역적 특성 때문에 공동화와 노령화에 대처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라며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자치단체가 주민한테 해야할 일들을 고민하다 은빛노후관리사업을 착안했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