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임명제 회귀 조짐
안순일 광주시교육감이 취임한 지 달포도 지나지 않아 선거공약인 ‘교육장 공모제’를 흐지부지 넘기려해 비판이 높다.
광주시교육청은 11일 내부인사 11명과 외부인사 17명으로 구성된 교육정책자문위를 열어 공석중인 서부교육장 인선 방법을 두고 토론을 펼쳤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선거 때 교육장 공모제를 공약했던 안 시교육감이 자문위까지 열어 인선 절차를 논의한 일은 사실상 임명제로 돌아가려는 명분쌓기로 보인다.
시교육청은 “공모제를 도입하면 윤영월 전 교육장의 정직 기간과 차기 교육장 공모 기간을 합쳐 행정 공백이 두 달로 늘어난다”며 “더욱이 공모를 해도 동부교육장을 희망한 인사들과 면면이 겹쳐 실익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 8일 동부교육장 공모에 신청한 7명 가운데 1명을 낙점해 교육부에 임명해달라고 제청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심사위원·심사기준·평가결과 등을 일절 공개하지 않아 무늬만 공모였을 뿐 투명성과 공정성을 살리지 못했다는 뒷말이 나왔다.
이영찬 부교육감은 지난 6일 “교육부에 제청한 인사 1명을 밝히겠다”고 약속했다가 이틀만에 “공개하면 불필요한 잡음이 우려된다”며 말을 바꿨다.
이에 대해 전교조 광주지부는 안 시교육감이 광주교육의 변화와 혁신을 약속하고서도 첫번째 인사부터 단추를 잘못 꿰고 있어 안타깝다는 반응이다.
정성홍 이 단체 사무처장은 “공약을 깨고 서부교육장을 공모하지 않은 것은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동부교육장도 형식상으로는 공모했지만 실제로는 위원회를 들러리로 내세워 교육감이 임명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정성홍 이 단체 사무처장은 “공약을 깨고 서부교육장을 공모하지 않은 것은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동부교육장도 형식상으로는 공모했지만 실제로는 위원회를 들러리로 내세워 교육감이 임명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