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등산지원기본계획’ 발표
산림청은 5일 전국 주요 산에 등산안내센터를 설치하는 것 등 안전하고 유익한 등산 정책과 지원사업을 뼈대로 한 ‘등산지원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을 보면, 등산로는 특성과 지원주체에 따라 국가등산로, 지방등산로, 지역등산로로 나누고 백두대간을 비롯한 9개 정맥의 국가 주요 산줄기 등산로를 ‘국가등산로’로 정해 국가가 관리하기로 했다.
시·도 일주 등산로 등은 ‘지방등산로’로 지정해 광역자치단체가, 도시생활권 등의 등산로는 기초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지역등산로’로 정했다.
산림청은 등산로를 걷기에 편한 정도나 안전도를 기준으로 1~3급으로 나눠 등산객 건강 수준에 맞는 표준 등산로를 알려주고 각 등산로 특성에 걸맞은 안전사고 예방대책을 세우는 등 등산 정보를 표준화했다.
또 전체 등산로의 30% 가량이 바닥 침식이나 노면 확대 등으로 훼손된 점을 감안해 ‘등산로 휴식년제’를 실시하는 한편 복원이 불가능하거나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등산로는 대체 등산로를 발굴할 예정이다.
등산로 주변에 야생 동·식물 해설판, 경관 해설판, 관망대를 설치하고 등산로 주변의 산촌마을, 자연휴양림, 폐교를 숙박·야영장소로 지정하기로 했다.
100대 명산 등 주요 산에는 ‘등산안내센터’를 두어 등산지도, 산악기상 등 등산정보를 제공하고 등산 안내인과 숲 해설가를 배치하는 한편 전국을 8개 지역으로 나눠 산악구조대를 운용할 계획이다.
서승진 산림청장은 “그동안 등산로가 자치단체 경계에 있어 관리 주체가 불명확한데 따른 문제가 잦아 등산 전문가, 자치단체, 대학 등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이 계획을 마련했다”며 “이번 조처가 산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안전하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산을 보호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