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군·비대위, 정부 대안놓고 9일 협의
규모 축소·생태도시화 보완책 등 검토
규모 축소·생태도시화 보완책 등 검토
충남 서천의 장항산업단지 갈등이 새 국면을 맞았다.
충남 서천군과 장항산단착공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9일 국무조정실에서 장항산단 대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장항산단 대안으로는 △장항산단 규모를 줄여 착공하고 줄어든 규모만큼 인센티브를 받는 안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제안한 어메니티 서천2020프로젝트 보완 안이라고 덧붙였다.
서천군과 비대위의 이같은 방침은 그동안 ‘원안 착공 외에 대안은 없다’던 강경 입장에서 한 발 물러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이에 앞서 나소열 서천군수와 김경제 비대위원장, 유환준 황우성 도의원 등 서천주민대표단은 5일 국무조정실을 방문해 원안 착공은 불가능하다는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9일 협의는 주민대표단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가 원안 착공 대안으로 제시한 ‘어메니티서천2020프로젝트’를 보완하거나 해수유통로 확보를 위해 장항산단 면적을 줄이고 이에 걸맞은 인센티브를 제시하면 협의 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국무조정실에서 관계 부처의 의견 수렴을 거쳐 세부 방안을 내놓겠다고 밝혀 이뤄졌다.
대안으로 제시된 ‘어메니티서천2020프로젝트’는 서천의 청정자연과 생태환경을 활용해 생태·교육·관광·벤처도시를 건설하는 안으로 산단 대신 국립생태원과 해양생태자연관, 에코벤처, 휴양단지를 짓고 배후도시를 재개발해 생태도시를 만드는 것을 뼈대로 하고 있다.
이 계획은 2011년까지 1차로 정부가 7350억원을 투자하고 2차로 민간이 1조1100억원을 들여 수족관, 환경벤처단지, 컨벤션센터, 바다공원 등을 건설한다.
환경부는 이 계획이 마무리되면 1만여명의 고용창출과 4만여명의 인구 유입효과 및 연간 방문수입만 1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나소열 군수는 “어메니티서천2020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시행된다면 최상의 대안이지만 아직 추상적인 단계라고 보고 있다”며 “정부 대안이 애초 장항산단 건설계획을 대신해 서천지역의 발전 동력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1989년 장항 앞바다 1234만㎡(374만평)를 매립해 국가산업단지로 조성한다고 밝혔으나 부처 간 이견 등으로 18년째 착공하지 못해 서천군민과 충남도가 반발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환경부는 이 계획이 마무리되면 1만여명의 고용창출과 4만여명의 인구 유입효과 및 연간 방문수입만 1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나소열 군수는 “어메니티서천2020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시행된다면 최상의 대안이지만 아직 추상적인 단계라고 보고 있다”며 “정부 대안이 애초 장항산단 건설계획을 대신해 서천지역의 발전 동력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1989년 장항 앞바다 1234만㎡(374만평)를 매립해 국가산업단지로 조성한다고 밝혔으나 부처 간 이견 등으로 18년째 착공하지 못해 서천군민과 충남도가 반발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