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조 막고 사설 모터 설치
전남지역의 일부 산업·축산 폐수 배출업소들이 정화처리 저장조를 일부러 막거나, 모터와 관로를 설치해 영산강에 폐수를 남몰래 흘려보내다 환경당국에 적발됐다.
영산강환경청은 21일 영산강 수계의 산업·축산 폐수 배출사업장 86곳을 점검해 정화처리하지 않은 폐수를 멋대로 내보낸 11곳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환경청은 “이들은 처리비를 아끼기 위해 저장조로 들어가는 통로를 일부러 막거나 남몰래 설치한 모터와 관로로 폐수를 흘려보내는 등 무단 배출의 고의성이 짙었다”며 “수질과 토양의 오염을 방치할 수 없어 조업정지와 검찰고발 등 엄정한 조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화순 능주면 ㅈ생약농협은 2004년 10월부터 90일 동안 조업하면서 생약세척 때 발생한 폐수 14.4㎥를 정화처리를 하는 저장조로 보내지 않고 빗물관로를 통해 하천에 흘려보냈다가 10일 동안 조업을 정지당했다.
무안 일로읍 ㄱ산업은 정화설비의 유입관로를 부서진 채로 방치하는 수법으로 도료와 잉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폐수 50ℓ를 하천에 내보냈다 조업정지 10일의 처분을 받았다.
함평 함평읍의 ㅊ축사는 지난해 12월 용량 98.4㎥인 저장조 안에 들어있던 축산폐수 30㎥ 가량을 모터와 관로를 이용해 인근 밭 2필지에 몰래 살포했다가 적발됐다.
장성 진원면의 ㅈ축사는 길이 3m 지름 80㎜짜리 관로, 함평 엄다면 ㅈ축사는 길이 2m 지름 100㎜짜리 관로를 각각 남몰래 설치해 21.7㎥ 이상의 폐수를 농수로에 내보냈다가 개선명령을 받았다.
문용호 환경감시대장은 “최근 2년 동안 영산강 수계의 오염도가 높아지고 있어 물의 날 특별단속을 벌였다”며 “행정조처와 수사의뢰 등으로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산강환경청은 물의 날을 맞아 22일 오전 10시 담양문화회관에서 700여명이 참석하는 ‘영산강 살리기 시민운동 발대식’을 마련한다.
참석자들은 이날 “영산강이 자정능력을 회복하도록 생활습관을 친환경적으로 바꾸겠다”며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 영산강을 살리는 환경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다짐한다.
이어 23일에는 영산강 하류인 무안 몽탄대교~목포 하구둑 구간의 수질실태를 돌아보는 뱃길탐사와 수중정화활동을 펼친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