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YMCA 조사, 바닥재 두께 얇고 생활용품 방치
11곳 중 8곳 안전인증 무시 6곳은 책임보험도 안들어
11곳 중 8곳 안전인증 무시 6곳은 책임보험도 안들어
광주지역 백화점·할인점·음식점의 놀이시설이 안전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와이엠시에이 시민중계실은 4일 광주지역 대규모 백화점·할인점·음식점 11곳의 실내 놀이시설을 점검한 결과, 대부분 충격 흡수 바닥재의 두께 규정을 지키지 않았고, 심지어 철제기둥·전기용품 따위를 놓아두어 어린이 안전사고가 걱정된다고 밝혔다.
실내 놀이시설 11곳 중 10곳은 고무 매트를 설치했지만 안전인증 기준인 두께 200㎜에 미달했고, 1곳은 아예 바닥재를 설치조차 하지 않았다. 9곳은 미끄럼틀 암벽타기 등 어린이들끼리 부딪칠 가능성이 높은 기구 주변에도 매트를 형식적으로만 설치했다.
또 6곳은 시설 안에 철제기둥이 있거나 전기코드가 드러나 있고, 의자와 세제 등 생활용품을 쌓아놓았다. 더욱이 2곳은 미끄럼틀 아래 볼풀을 설치하는 무신경을 드러냈다.
10살 이하 어린이가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놀이기구는 안전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지만 11곳 중 8곳은 이를 무시했고, 3곳은 자체 검사로 끝냈다. 안전검사는 공산품안전관리법에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받아야 한다.
안전사고 때 치료나 보상에 대비해 11곳 중 5곳은 책임보험에 가입했으나, 나머지 6곳은 보험을 들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소비자원에 신고된 놀이시설 안전사고 분쟁은 2003년 21건, 2004년 39건, 2005년 16건에 이르렀다.
윤봉란 시민중계실 팀장은 “놀이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다룬 규정을 마련해 주먹구구식 운영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조사는 지난 4월11~25일 보름 동안 대학생과 주부 20명의 현장방문과 전화설문을 통해 이뤄졌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 조사는 지난 4월11~25일 보름 동안 대학생과 주부 20명의 현장방문과 전화설문을 통해 이뤄졌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