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이전한 광주시 서구 쌍촌동 옛 광주기무사의 정문이 굳게 닫혀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광주교도소·기무사 등 철거 방침
“원형 보존해 역사성 살려야”
“원형 보존해 역사성 살려야”
광주기무사·광주교도소·국군광주병원 등 광주시내 5·18현장을 원형으로 보존하자는 제안이 5월재단과 지방의회에서 나왔다. 이 가운데 광주기무사는 5·18 사적지로 지정되지 않았고, 광주교도소와 국군광주병원은 사적지로 지정됐지만 이전 뒤 건물 철거가 예상된다. 5.18기념재단과 광주환경련은 10일 광주시 서구 쌍촌동 옛 광주기무사 시설 1만5천평의 5·18 사적지 지정을 광주시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두 단체는 최근 옛 기무사 터의 활용방안을 찾으려고 건축·조경 분야 전문가 10여명과 함께 건물과 시설을 답사했다. 두 단체는 “국방부가 2005년 시설을 이전한 뒤 매각 방침을 밝혀 주택건설업체들의 관심이 높다”며 “이달 안에 사적지 지정을 마치고 도시계획을 변경해 보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곳은 당시 5·18 당시 송기숙·이홍길 등 주요 인사들이 지하 강당으로 끌려가 조사를 받았던 장소다. 광주시의회 진선기 의원은 지난 9일 “2012년까지 북구 문흥동 일대 3만2798평의 광주교도소가 삼각동으로 이전한다”며 “이전 뒤 현장을 보존하고 청소년역사관·인권학습관 등을 갖춘 평화공원을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법무부 소유인 광주교도소 터를 팔면 5·18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이 총격전을 벌였던 현장, 구속자 수백명이 수감됐던 감방 등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 국군광주병원은 오는 6월 서구 화정동에서 전남 함평으로 이전한다. 이전 뒤 터 2만9400평은 녹지공원으로 만들어지는 만큼 부상자 치료와 구속자 조사에 쓰였던 병동과 건물은 헐릴 예정이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사무처장은 “옛 광주기무사는 이미 사적지로 지정된 25곳에 견주어 역사성이 뒤지지 않는다”며 “5·18현장을 원형대로 보존할 수 있는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