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만 710억원…과일·곡물·채소 타격 뒤이어
충남발전연 분석 “지역특화품 발굴로 자립해야”
충남발전연 분석 “지역특화품 발굴로 자립해야”
충남발전연구원은 12일 한미자유무역협정으로 충남지역 농업생산 감소액은 연 평균 1022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충남발전연구원이 내놓은 <한미자유무역협정과 충남 농업의 대응방안>(2005년 기준)을 보면, 충남의 평균 농가 소득은 3221만5천원(농업소득 40%)으로 전국 평균 농가 소득 3050만3천원보다 8.9%, 농업소득은 38.7%(1181만5천원)보다 1.3% 각각 높아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또 충남은 지역 내 총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산업구조에서 농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4%로 전국 평균 3.6%보다 2.5배 높고 농가의 농업소득 비중도 전국 평균치 보다 높은 것도 이런 결과를 낳았다.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 되는 부문은 축산, 과일, 곡물, 채소 및 특작 차례였다.
피해가 가장 큰 축산은 연평균 생산액 감소 규모가 71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으며 △쇠고기 288억원 △돼지고기 247억원 △닭고기 119억원 △낙농 56억원 차례였다.
과일 부문의 생산액 감소 규모는 △사과(64억원) △배(46억원) △포도(46억원) △복숭아(7억원) 등 모두 163억원이었으며, 곡물 부문은 대두 92억원 등 114억원, 채소 및 특작부문은 인삼 10억원, 딸기와 감자가 각각 8억원과 7억원 등 34억원으로 예측됐다.
충남발전연구원 신동호 산업경제팀장은 “국내 농산물 시장은 5%만 생산량이 달라져도 값이 오르내릴 만큼 불안정하다는 점에서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안전한 작물은 없다”며 “주체와 재원이 제각각인 농촌 대책들을 체계화해 지원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특화품목을 발굴하고 상품화하는 등 농어촌의 장점을 자원화해 자립기반을 갖춰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05년 말 현재 충남의 농어업 인구(가구수)는 농업 44만6022명(16만3197가구), 어업 2만7309명(1만505가구)으로 전국(농민 343만3573명, 어민 127만2908명) 대비 각각 13%와 12.3%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