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청소년정책관 “여성 비하”…의원 “사실 무근”
시민단체 “의회 무시”-“사과해야” 반응 엇갈려
시민단체 “의회 무시”-“사과해야” 반응 엇갈려
광주시의원의 ‘막말’을 문제삼은 광주시 간부의 예산심의 거부파문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남성숙 광주시 여성청소년정책관은 28일 해당 부서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를 거부한 뒤 사표를 내고 사흘째 출근하지 않았다.
남 정책관은 지역신문의 문화부장과 논설위원을 지낸 언론인 출신으로 올 1월 개방형 직위(4급 상당) 공모를 통해 공직에 들어왔다.
그는 두차례 언론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유재신 광주시의원은 지난 14일 행정사무 감사 때 ‘가만 안 둔다’ 따위 폭압적 발언을 했다”며 “고압적인 반말로 여성과 시민을 무시한 유 의원에게는 내년도 예산심의를 받을 수 없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또 26일치 지역신문 1면에 5단 광고를 내 “유 의원의 예산 심의를 거부하겠다”며 “이는 집행부 전체의 뜻이 아니라 개인의 의견”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주시의회는 애초 26일로 잡았던 교육사회위의 여성청소년정책관실 예산 심의를 30일로 미뤘다. 이어 “공무원이 예산 심의를 거부한 것은 초유의 일”이라며 △집행부의 사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유 의원도 “논쟁은 있었지만 폄하하거나 비하한 적이 없다”며 “비이성적이고 분별력 없는 행동이 안타깝다”고 반응했다. 그는 “해당부서의 정책·사업 잘못을 호도하려는 대응”이라며 “명예훼손 혐의로 법적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런 대립을 두고 외부에서도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다.
참여자치21은 성명을 내고 “예산 심의 거부는 시민의 대표기구인 의회의 존재를 무시하는 중차대한 사태”라며 “남 정책관을 파면하라”고 비판했다.
한국여성지도자연합 송희성 광주지회장은 “폄하·비하 발언이 있었다면 유 의원이 광주 여성들한테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고 옹호했다.
반면 광주시는 “예산 심의 거부는 개인적인 일인 만큼 사과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내년 예산은 심의 규정에 따라 차질없이 이뤄질 것”이라며 미지근한 태도를 보였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두 사람의 감정에서 비롯된 일인 만큼 조용하게 마무리할 것”이라며 남 정책관의 사표처리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