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명 “경제성도 없어…대전시민 87%, 금강운하도 반대”
대전·충남지역 대학교수 153명은 6일 ‘한반도 대운하 반대 대전 충남교수모임’을 결성해 “대운하 건설은 국토를 뒤바꾸는 국내 최대의 토목사업으로 정치적 판단을 벗어나 경제적 효율성과 국토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영향 분석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운하 반대 교수모임은 이날 오후 충남도청에서 가진 창립기자회견에서 “대운하 및 금강운하에 대해 논의한 결과, 환경영향 평가가 부실하고 경제성이 없으며 국가경제 전반에 걸쳐 투자의 비효율성 및 운하건설지역의 땅투기 열풍이 우려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출범 취지를 밝혔다.
교수모임은 이어 “세계 각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하천 정책의 뼈대는 복개한 콘크리트와 불필요한 보를 걷어내고 자연 물길을 살리는 등 복원에 맞춰져 있다. 운하건설은 이 같은 추세에 역행하며 전문가의 양심으로 봐도 안될 말”이라며 백지화를 촉구했다.
이 단체는 산하 대운하연구단을 꾸리고 대운하 및 금강운하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환경생태 △문화 △절차적인 타당성 여부를 분석하는 한편 뜻을 같이하는 전국 교수들과 연대해 대운하 반대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권선필(목원대 교수) 총괄간사는 “대전시민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더니 대운하는 17%대 83%, 금강운하는 13%대 87%로 반대가 많았다”며 “대운하는 국토의 물길까지도 서울 중심으로 재편하는 중앙 집중적인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대전 충남교수모임은 김선건(충남대 사회학), 김조년(한남대 사회복지학), 박경(목원대 디지털경제학), 허재영(대전대 토목공학), 조영탁(한밭대 경상학), 김봉환(공주대 국제통상학), 이규봉(배재대 수학) 교수를 공동대표를 뽑았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