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도시철도 1호선 노선도
1호선 2구간 완공하고도 선거법 저촉 이유 보름이나 연기
시민단체 “생색내기 행사 집착 주민편의 뒷전” 비난
시민단체 “생색내기 행사 집착 주민편의 뒷전” 비난
광주시가 지하철 1호선 2구간 공사를 마치고도 개통을 보름이나 미루기로 해 눈총을 받고 있다.
광주시는 17일 “지하철 1호선 2구간인 상무∼옥동 8.1㎞ 개통식을 애초 3월27일에서 총선 직후인 4월11일로 연기한다”며 “선관위가 선거운동 기간에 자치단체 주관의 개통식 행사를 열 수 없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난달 중순 개통식이 선거법에 저촉된다는 선관위의 유권해석이 나오자 ‘도시철도공사의 행사 주관’ ‘선 지하철 개통 후 개통식’, ‘총선 이후로 개통식 연기’ 등을 두고 고심하다 이렇게 결정했다.
시는 선거법 규정이 엄격한 탓에 개통식을 어쩔 수 없이 연기했다며 주민의 이해를 당부했다. 위길환 시 도시철도건설본부장은 “국비가 60% 들어가는 지하철 사업 사상 개통식 없이 상업운전을 한 사례가 없다”며 “정부인사와 지역주민 600여명을 개통식에 초청해 1호선 운행 개시와 2호선 건설 계획을 알리겠다”고 설명했다.
반면 광산주민과 시민단체는 역시설 점검과 차량 시운전 등 개통 준비를 마치고도 행사에 집착해 지하철의 발목을 잡는다며 반발했다.
광주 광산구의회는 의원 14명 전원이 동참한 건의문을 내 “시가 개통을 학수고대 기다리는 시민들을 무시한 채 행정편의만을 앞세운다”며 “광산 송정지역 주민과 학생 10여만명을 위해 예정대로 개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명수 구의회 운영위원장은 “바닥에서 원성이 높아 주민자치회와 통장단회의도 동요하고 있다”며 “시쪽 반응을 지켜본 뒤 대응책을 세우겠다”고 별렀다.
이기훈 누리문화재단 사무처장은 “단체장이나 정치인이 주민의 세금으로 건설한 대중교통의 발목을 잡아서야 되겠느냐”며 “떠들썩한 생색내기 행사에 집착하지 말고 주민편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바랐다.
광주시선관위 쪽도 “선거일 60일 전부터 선거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자치단체의 각종 행사가 제한된다”며 “개통식을 제한할 뿐 지하철 개통은 가능하고, 개통식이 꼭 필요하다면 도시철도공사에서 주관할 수 있는데도 굳이 시가 하겠다는 걸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응했다.
시는 1996년 8월부터 1조6444억원을 들여 지하철 1호선 용산~옥동 20.2㎞ 구간을 건설했다. 전구간 개통이 이뤄지면 시내버스로 80분 걸리는 거리를 지하철로 33분만에 도착할 수 있다. 1호선의 하루 평균 승객은 4만여명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