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1일 기아차 광주공장을 방문해 기아차 물류를 운하로 처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청 제공
이 대통령 “광주 기아차 물류 뱃길처리 추진”
공장 방문서 정부주도 뜻
시민단체 연대해 제지키로
공장 방문서 정부주도 뜻
시민단체 연대해 제지키로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광주를 방문해 영산강 운하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자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기아차 광주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아차 물류를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영산강 뱃길 복원사업을) 정부 주도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박광태 광주시장이 오찬장에서 “남도의 젖줄이며 호남인의 정서와 비전이 깃든 영산강 뱃길 복원 사업을 추진해달라”고 건의하자 이런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환경부 업무보고에 앞서 영산강 수계도를 두고 대담하면서 “나주에는 등대가 있어 옛날에 배가 다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등 영산강 주변에 역사물이 많아서 개발하면 관광지로 좋겠다”며 속내를 내비쳤다. 이 발언들은 총선국면을 맞아 수면 아래로 잠복했던 영산강 운하 논란을 다시 촉발시켰다.
영산강운하 백지화 광주전남시민행동은 24일 “어떻게든 영산강 운하를 추진하려고 기아차 물류를 끌어들이고 수질오염을 개선하겠다는 등 억지 논리를 갖다붙이고 있다”며 “생태계 파괴와 환경적 재앙을 불러올 운하 사업을 즉각 철회하라”고 반박했다.
이 단체는 이어 박준영 전남지사와 박광태 광주시장한테 공개질의서를 보내 △두 단체장이 소속인 통합민주당의 당론을 거스르고 운하건설에 집착하는 배경 △2000년 타당성 없다고 용역결과가 나온 뱃길복원을 추진하는 이유 등을 물었다.
이 단체 최지현 사무국장은 “화물차 운송으로 1시간반이 필요한 구간을 운하 통과에 10시간, 차량 환적에 2시간 등 최소한 12시간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전혀 경제성이 없다”며 “지역민 다수가 반대하는 만큼 시민단체 45곳이 연대해 운하 건설을 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승수 전남대 교수는 “정부 주도로 추진해도 영산강 수질개선에 이미 2조8800억원이 책정되어 있어 추가적인 예산투입은 없다”며 “민자로 추진하면 유역 개발권과 골재 채취권 따위로 수익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시·도는 오히려 적자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이 대통령의 발언을 계기로 △영산강 학교 △자전거 순례 △순회 토론회 등을 잇따라 열어 반대운동을 본격화 한다. 천주교 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도 이날 광주가톨릭대 평생교육원에서 열린 정의·평화아카데미에서 박진섭 생태지평연구소 부소장의 강연 ‘한반도 운하 어디로 흘러가나’를 들은 뒤 호남운하 건설을 비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 단체는 이 대통령의 발언을 계기로 △영산강 학교 △자전거 순례 △순회 토론회 등을 잇따라 열어 반대운동을 본격화 한다. 천주교 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도 이날 광주가톨릭대 평생교육원에서 열린 정의·평화아카데미에서 박진섭 생태지평연구소 부소장의 강연 ‘한반도 운하 어디로 흘러가나’를 들은 뒤 호남운하 건설을 비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