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134명 조사
광주시내 장애인학교의 지역편중이 심하고 학급인원이 넘치는 만큼 증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21일 광주 특수학교 교사 134명한테 물은 결과, 83.6%인 112명이 ‘특수학교 신설이 필요하다’, 9.7%인 13명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을 했다고 밝혔다.
신설을 바라는 이유는 △과밀화·거대화로 포화상태(56명, 41.8%) △장애특성에 맞는 교육 제공(29명, 21.7%)이었고, 필요한 영역은 정신지체, 다장애, 중증·중복과 정서행동 장애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단체 김대준 정책실장은 “5월부터 장애인교육법 시행으로 특수학교 학급당 인원이 유치부 4명, 초등부 6명, 중학부 6명, 고등부 7명으로 바뀐다”며 “특정 공립학교가 비대해지고, 일부 학생은 세시간 걸려 등하교를 하는 상황이어서 북구에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신설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들도 통합교육과 시설확충을 하면 장애인 학생을 수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안순일 광주시교육감을 장애인교육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지 검토에 들어갔다. 광주지역에는 선광·선명·은혜·세광·인화 등 5개 특수학교에 학생 1000여명이 재학중이나 인구가 많은 북구에 특수학교가 없는 불균형으로 통학불편이 심하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