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행정도시 건설공사 관계자들이 충남 연기군 남면 전월산 남쪽 옛 상촌마을 일대 중심행정타운 예정지에서 공사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행정도시 예정지 가보니
공사 열달 ‘안갯속 운명’…주민 재정착 차질 우려
행정관청 뒤숭숭…“균형발전 취지대로 건설돼야” 이명박 정부가 혁신도시 재검토·보완 입장을 밝히면서 국가 균형발전의 또다른 축인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계획대로 추진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행정도시 운명은 올 하반기로 예정된 첫 정부청사 착공식과 국회에서 심의될 세종자치시설치법에 대해 정부와 한나라당이 어떤 입장을 보일지에 따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용지조성 공정률은 15% =2일 충남 연기군 남면은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공사 10개월째, 생활 중심지인 종촌읍은 남면사무소 등 몇몇 건물만 남아있을 뿐 수다방, 한복점, 떡방앗간 모두 사라졌다. 텅빈 시내버스가 지나간 거리는 공사 차량이 꼬리를 물었다. 종촌~송담리~장남평야 구간은 평탄화와 흙다지기 공사가 한창이었다. 중앙 부처가 이전할 1-5공구를 비롯해 1-4공구, 1-2공구의 마을은 철거됐고 산이 깎여 평지를 이뤘다. 공사 관계자들은 행정중심타운 터인 이 곳은 산을 깎아도 바위하나 없을 만큼 토질이 좋으며 올 하반기에 국무총리실 건물 착공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동양건설산업 정상봉 공사과장은 “현재 공정률은 15%로, 송전선로 및 통신케이블 이전을 논의하고 있다”며 “계획대로 2010년까지 모든 공공용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주민보상 대책위원회는 우려 커 =주민보상 대책위는 산하에 생계조합, 영농조합을 꾸리고 이주한 원주민들의 생계를 위해 각종 위탁 사업을 맡고 있다.
보상대책위는 2011년 입주를 목표로 원주민을 조합원으로 하는 1000가구 아파트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가 행정도시의 규모나 성격 등을 조정할 경우 입주가 늦어질 수도 있어 우려하고 있다. 입주가 늦어질수록 보상금을 써버리는 원주민이 늘어나 주민 재정착률이 목표치인 60%선을 밑돌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홍석하 보상대책위 주민팀장은 “대통령이 행정수도 건설에 반대해온 터라 세종시가 애초 계획대로 건설될지 걱정스럽다”며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고향을 내준 원주민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정부가 원래 안대로 건설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 행정도시청은 살얼음판 걷는 듯 =행정도시청은 긴장 속에 침묵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인수위가 “혁신도시들은 재검토·보완하고, 국가 균형발전의 틀을 5+2 체계로 전면 수정하며, 행정도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건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또 최근 국토해양부의 국회 업무보고에서는 행정도시 건설 문제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행정도시청 내부 인력조정으로 세종시 설치법 담당자를 포함해 과장 3명과 국장 1명이 떠났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한 행정도시청 직원은 “지난해 말에는 이례적으로 감사원에서 나와 일주일 동안 상주하면서 예비감사를 진행했다”며 “전반적으로 살얼음판에 서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른 직원은 “현재 세종시 설치법 제정은 가장 중요한 과제인데 현재 이에 대한 전문가가 없는 상황”이라며 “행정도시가 원안대로 건설될지는 첫 정부청사 착공과 세종시 설치법 제정 과정을 지켜보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용식 행정도시 자문위원장은 “행정도시 목적은 중앙부처 이전을 통해 국가 균형발전을 이뤄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하는 것이므로 취지에 맞게 건설돼야 한다”며 “자족 기능을 보완한다면 도시가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기/글·사진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행정관청 뒤숭숭…“균형발전 취지대로 건설돼야” 이명박 정부가 혁신도시 재검토·보완 입장을 밝히면서 국가 균형발전의 또다른 축인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계획대로 추진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행정도시 운명은 올 하반기로 예정된 첫 정부청사 착공식과 국회에서 심의될 세종자치시설치법에 대해 정부와 한나라당이 어떤 입장을 보일지에 따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용지조성 공정률은 15% =2일 충남 연기군 남면은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공사 10개월째, 생활 중심지인 종촌읍은 남면사무소 등 몇몇 건물만 남아있을 뿐 수다방, 한복점, 떡방앗간 모두 사라졌다. 텅빈 시내버스가 지나간 거리는 공사 차량이 꼬리를 물었다. 종촌~송담리~장남평야 구간은 평탄화와 흙다지기 공사가 한창이었다. 중앙 부처가 이전할 1-5공구를 비롯해 1-4공구, 1-2공구의 마을은 철거됐고 산이 깎여 평지를 이뤘다. 공사 관계자들은 행정중심타운 터인 이 곳은 산을 깎아도 바위하나 없을 만큼 토질이 좋으며 올 하반기에 국무총리실 건물 착공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동양건설산업 정상봉 공사과장은 “현재 공정률은 15%로, 송전선로 및 통신케이블 이전을 논의하고 있다”며 “계획대로 2010년까지 모든 공공용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행정중심도시 건설 진행과정
홍석하 보상대책위 주민팀장은 “대통령이 행정수도 건설에 반대해온 터라 세종시가 애초 계획대로 건설될지 걱정스럽다”며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고향을 내준 원주민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정부가 원래 안대로 건설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 행정도시청은 살얼음판 걷는 듯 =행정도시청은 긴장 속에 침묵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인수위가 “혁신도시들은 재검토·보완하고, 국가 균형발전의 틀을 5+2 체계로 전면 수정하며, 행정도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건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또 최근 국토해양부의 국회 업무보고에서는 행정도시 건설 문제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행정도시청 내부 인력조정으로 세종시 설치법 담당자를 포함해 과장 3명과 국장 1명이 떠났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한 행정도시청 직원은 “지난해 말에는 이례적으로 감사원에서 나와 일주일 동안 상주하면서 예비감사를 진행했다”며 “전반적으로 살얼음판에 서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른 직원은 “현재 세종시 설치법 제정은 가장 중요한 과제인데 현재 이에 대한 전문가가 없는 상황”이라며 “행정도시가 원안대로 건설될지는 첫 정부청사 착공과 세종시 설치법 제정 과정을 지켜보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용식 행정도시 자문위원장은 “행정도시 목적은 중앙부처 이전을 통해 국가 균형발전을 이뤄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하는 것이므로 취지에 맞게 건설돼야 한다”며 “자족 기능을 보완한다면 도시가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기/글·사진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