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494억 대토 수요 등 몰려 홍성·예산 최고 6배 ↑
“당분간 강세” “호가만 높아” 전문가 의견 분분
“당분간 강세” “호가만 높아” 전문가 의견 분분
충남도청 이전 새도시 예정지역인 홍성과 예산의 토지·물건 보상을 앞두고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땅값이 들썩거리고 있다. 충남개발공사는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와 충남도청 이전 새도시 예정지역 내 토지·물건에 대한 감정평가를 마치고 소유주에게 이를 통보했다고 12일 밝혔다.
보상 대상은 토지 5813필지, 지장물 502건 등이며 보상 총액은 7494억원이다. 땅 보상가는 3.3㎡당 대지 50만원 선, 농지 30만원 선, 절대농지 20만원 선 등 평균 22만원 선으로 알려졌으며 보상 가구는 416곳이다. 충남개발공사는 13일부터 8월13일까지를 계약체결 기간으로 정하고 15일 보상 금액과 지급 방법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청 새도시 주변지역 땅값은 개발이익, 대토 수요가 몰리면서 2~3년 새 최고 6배까지 급등세를 보였다. 예산지역 부동산업계는 도청이전 새도시 예정지인 홍성군 홍북면, 예산군 삽교읍 등은 현재 매매량이 많지 않지만 논밭과 집터 모두 3.3㎡당 평균 30만원 선, 대토 지역인 예정지 인근은 3.3㎡당 50만원대를 호가한다고 설명했다. 홍성 ㅎ부동산 김경재(61·공인중개사)씨는 “주변지역 가운데 관리지역과 붙어 있는 논밭은 3.3㎡당 50만원을 호가하고 농업진흥지역(절대농지)도 20만~30만원 한다”며 “2~3년 전 5만~8만원 했으니 6배 정도 올랐다”고 말했다.
김아무개(55·공인중개사)씨도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은 기대심리가 커 매매와 상관없이 땅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특징이 있다”며 “예정지 주민들은 고향 주변에 정착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주변에 대토를 해야 양도세 등을 면제받을 수 있어 땅값이 당분간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홍성 ㅇ부동산 박아무개(60)씨는 “외지인들이 이 지역에 사는 친척들 이름을 빌려 땅을 많이 샀으나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되고 기간도 연장돼 지금은 호가만 높은 상태”라며 “예정지 주민 대부분도 상대적으로 땅값이 싼 예산 쪽에 대토를 많이 해 앞으로 땅값이 크게 오를 가능성은 적다”고 주장했다.
한편, 충남개발공사는 도청 새도시 토지, 물건 보상금은 현지인에게는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되 본인이 희망할 경우 채권보상과 사업지구에 조성된 토지(대토)로 보상하며 토지보상법상 부재지주에게는 1억원까지만 현금으로 지급하고 초과 보상금은 3년 만기 용지보상용 채권으로 지급할 방침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