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버스노선 개편, 운영체계 구축, 필요재원 조달 등 조건들이 갖춰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시행시기는 올초 도입을 바라는 노조의 요구와는 달리 내년 후반기로 미뤄질 전망이다.
광주시는 28일 “교통개발연구원이 준공영제 성공요건으로 노선개편, 지하철환승, 전용차로 따위 기반시설과 버스운행관리, 도착정보안내, 수입금 공동관리 따위 운영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버스제도 개선 용역을 맡은 연구원은 이어 한해 168억원 이상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2006년 시내버스의 수송분담률을 46.9%, 재정보조금 규모를 175억~194억원으로 전망했다.
시 쪽은 이런 용역 결과를 토대로 준공영제 시행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성공 조건을 갖추는 데 6개월~1년 정도 걸릴 것”이라며 “올 초 시행을 바라는 노조를 적극적으로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