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전 1년새 각각 26.2%·61.6% 늘어…과잉공급·분양가 하락 기대 탓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시장 대책에도 불구하고 충남, 대전의 미분양 아파트 규모가 줄지 않고 있다. 실수요자들은 아파트 값이 더 내릴 것으로 보고 구매 시기를 늦추고 있다.
충남도는 지난 7월 말 현재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1만7628가구로 지난해 말 1만3971가구에 비해 26.2%(3657가구) 늘었다고 22일 밝혔다.
시·군 별로는 △천안시 7358가구 △아산시 2235가구 △연기군 1789가구 △서산시 1355가구 △당진군 1050가구 △보령시 963가구 △계룡시 887가구 △태안군 697가구 △공주시 384가구 △홍성군 380가구 △예산군 350가구 △논산시 179가구 △금산군 7가구 등 차례다.
이 가운데 천안시는 이 통계가 나온 지 한 달만인 지난달 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가 8158가구로 800여 가구가 늘었다.
천안 지역 월별 미분양 아파트는 1월 6098가구, 2월 6475가구, 3월 6654가구, 4월 6425가구, 5월 7202가구, 6월 7352가구 등으로 지난 4월을 제외하고는 다달이 증가했다.
미분양 아파트 대부분은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중·대형으로 나타났다.
대전권 역시 지난 7월 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는 3053가구로 지난해 말 1881가구에 비해 61.6%(1172가구) 늘었다. 지역별로는 유성구가 1342가구로 가장 많고 중구 1036가구, 서구 485가구 등이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아파트가 늘고 있는 것은 건설사들의 과잉 공급과 주택 수요자들이 아파트 분양가가 더 낮아질 것으로 기대해 주택 청약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또 최근 미국의 경기 불안에 따라 유동성 위기가 닥칠 경우 은행 이자율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분양시장이 활성화되지 않는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대전 ㄹ부동산 이아무개 대표는 “천안지역은 올 들어 8천가구 이상 아파트가 공급돼 과잉 사태를 빚으면서 일부 특정지역 외에는 분양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조치원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분양가보다 30% 이상 낮은 가격에 매물이 나오기도 해 정상적으로 청약을 한 구매자들의 반발이 심하다”고 말했다. 충남도 김창환 건축도시과장은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하면 취득세와 등록세를 50% 감면해주고 공공 분야 아파트 공급 시기를 조절해 미분양 물량을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또 최근 미국의 경기 불안에 따라 유동성 위기가 닥칠 경우 은행 이자율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분양시장이 활성화되지 않는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대전 ㄹ부동산 이아무개 대표는 “천안지역은 올 들어 8천가구 이상 아파트가 공급돼 과잉 사태를 빚으면서 일부 특정지역 외에는 분양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조치원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분양가보다 30% 이상 낮은 가격에 매물이 나오기도 해 정상적으로 청약을 한 구매자들의 반발이 심하다”고 말했다. 충남도 김창환 건축도시과장은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하면 취득세와 등록세를 50% 감면해주고 공공 분야 아파트 공급 시기를 조절해 미분양 물량을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