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충남대 경사났네

등록 2005-05-03 21:07수정 2005-05-03 21:07

홍순익 충남대 교수
세계3대인명사전 등재

충남대는 신소재공학부 홍순익(48·응용소재공학전공) 교수가 미국인명연구소(ABI·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와 영국 케임브리지의 국제인명센터(IBC·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 Cambridge), 마퀴스 후즈후(Marquis Who's Who) 등 세계 3대 인명사전에 올랐다고 3일 밝혔다.

미국인명연구소는 최근 “홍 교수가 전도체, 나노 복합재료 및 에너지 관련 재료공학 분야 및 뼈의 구조 및 인공 뼈 형성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학문에 크게 기여해 ‘21세기의 탁월한 지성(Great Minds of the 21st Century)’으로 선정됐다”고 알려왔다.

지난달 영국 국제인명센터도 홍 교수에게 이 같은 성과를 인정해 올해의 인물(Cambridge blue book man of the year), 21세기의 우수과학자(2000 outstanding scientists of the 21st century) 및 21세기의 우수지식인(2000 outstanding intellectuals of the 21st century)으로 선정했다고 통보했다.

홍 교수는 이에 앞서 2005년 마퀴스 후즈후 인더월드와 2004년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에도 올라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동시에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

홍 교수는 “한국의 재료공학 분야 연구가 세계적인 수준에 있다는 것을 입증해 기쁘다”며 “인공 뼈 관련 연구에 박차를 가해 활동하는데 불편을 겪는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충남의대 노종렬교수
두경부암부작용원인 세계 첫 규명

충남대 의대는 이비인후과 노종렬(37) 교수가 두경부(머리와 목 부위) 암 치료에 따른 부작용 원인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3일 밝혔다.


노 교수는 ‘두경부 암의 부작용 원인 규명’ 논문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두경부 암환자들이 완치 이후에도 음식섭취 어려움과 음성장애를 겪는 것은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침 분비 기능이 크게 줄어들어 구강건조증이 발생하는데 따른 것”으로 “구강건조증이 목소리를 내는 성대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 음성장애 등을 일으킨다”고 밝혔다.

그는 “두경부암의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침 분비샘들의 기능을 유지해주면 구강건조증에 따른 치료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논문은 세계적인 암 전문잡지인 ‘임상종양(Journal of Clinical Oncology)’ 5월호에 실렸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