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충원 필요한 193명도 기간제…전체의 10%
재계약 빌미 ‘통제’ 가능성…전교조 “비율 낮춰야”
재계약 빌미 ‘통제’ 가능성…전교조 “비율 낮춰야”
대전지역 사립학교들이 결원 교사들의 대부분을 비정규직으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20일 대전시교육청의 기간제 교사 자료를 분석했더니 대전 사립학교 10여곳에서 기간제 교사 비율이 전체 교사의 10% 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대전 우송학원 산하 우송중은 기간제 교사가 6명으로 22명 정원 가운데 27%, 서대전고는 61명 가운데 16명으로 26%, 우송고도 64명 정원에 23%인 15명으로 기간제 교사가 전체의 4분의 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대전여고와 유성여고도 각각 61명 정원에 18%(11명)와 15%(9명)로 기간제 교사 비율이 높았다.
이밖에 동아공고, 대전여상이 13%, 성모여고가 12%로 뒤를 이었다.
전교조는 “사립학교들이 기간제 교사 가운데 절반(50.44%)을 면접만으로 뽑아 인맥 등에 의한 선발 의혹도 있다”며 “비정규직 증가는 사립학교에 대한 대전시교육청의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잘못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대전지부 권성환 정책실장은 “사립학교는 내년부터 정규교사를 채용해 과다한 기간제 교사 비율을 낮춰야 하며 시 교육청도 철저한 행정지도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대전, 충남교육청 국정감사에서 권영길(민주노동당) 의원은 “올해 대전지역에서 채용된 사립학교 교사는 364명으로, 이 가운데 341명(94%)이 비정규직”이라고 밝혔다.
권 의원은 “이들 비정규직 가운데 148명은 사립학교법에 명시된 교원의 휴가·파견 및 육아휴직 대체 등으로 채용됐지만 나머지 193명은 정교사로 충원돼야 할 기존 교원의 퇴직, 사망, 파면 등에 따른 것”이라며 “채용하면 국가에서 인건비를 지원하는데도 법인 쪽이 정규교사 채용을 꺼리는 이유가 있느냐”고 따졌다.
권 의원은 “사립학교들이 정교사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채우는 것은 재계약을 빌미로 교원통제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교직 안정성이 떨어지면 결국 그 피해는 학생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은 “계약직 교사가 늘지 않도록 조처하겠다”고 답변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권 의원은 “사립학교들이 정교사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채우는 것은 재계약을 빌미로 교원통제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교직 안정성이 떨어지면 결국 그 피해는 학생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은 “계약직 교사가 늘지 않도록 조처하겠다”고 답변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