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침체로 ‘시민구단’ 어려워…기업도 ‘시큰둥’
올 창단 못하면 시가 낸 발전기금 축구연맹으로
올 창단 못하면 시가 낸 발전기금 축구연맹으로
프로축구 광주구단의 창단이 불발되면서 광주시가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예치한 가입금 40억원을 날리게 됐다.
광주시는 22일 “광주를 연고로 하는 프로축구 ‘제16구단’의 창단을 추진했으나 올 안에 성사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애초 지역의 경제기반이 취약한데다 경기마저 침체되면서 창단 작업이 진척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임원 선수 등 인원 40명 안팎으로 프로축구단을 꾸리려면 창단 첫해에 140억원, 이듬해부터 운영비로 연간 80억~100억원을 들여야 한다”며 “이런 비용 부담 탓에 지역기업이 난색을 표명하고 시민구단도 추진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는 2004년 국군체육부대의 상무축구단을 광주구단으로 운영하면서 프로축구연맹에 냈던 정회원 가입비 10억원과 축구발전기금 30억원 등 모두 40억원을 포기해야 할 위기에 몰렸다.
당시 프로축구연맹이 연고구단 창단 시한으로 5년을 제시하면서 2008년 말 창단, 2009년 시즌 참가가 이뤄지면 40억원을 시가 승계하지만, 시한을 넘기면 이를 연맹에 귀속시킨다는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 연고업체인 금호아시아나그룹에 공문을 보내 창단을 요청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 올 들어 시민구단 창단으로 선회했으나 경기가 침체국면에 들어서면서 전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시민구단 방식은 출범 초기 지역의 축구 붐 조성을 위해 시민주를 모금하고, 창단과 운영은 기업 5~10곳이 컨소시엄을 형성해 광고나 협찬을 하면서 운영비를 댄다.
이 과정에서 지난달 실업축구 울산 현대미포조선이 30억원을 내겠다며 광주연고 시민구단을 창단하겠다는 의사를 비쳤으나 후원액수나 납부기간 등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협상이 전척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체육지원과 김현복씨는 “미포조선에서 공식적으로 창단 의사를 들은 적이 없다”며 “우선은 창단 마감을 1~2년 연장해주도록 프로축구연맹에 요청하고, 이 결과에 따라 40억원 문제도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원도는 12월 ‘제15구단’인 강원에프시(FC)를 창단하겠다며 이미 20억원을 조성했고, 다음달 17일 선수선발 때 신인 선수 14명의 우선 지명권을 행사할 예정이다. 프로축구 14개 구단 가운데 시민구단 방식으로 운영중인 지역은 경남 인천 대구 대전 등 4곳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편, 강원도는 12월 ‘제15구단’인 강원에프시(FC)를 창단하겠다며 이미 20억원을 조성했고, 다음달 17일 선수선발 때 신인 선수 14명의 우선 지명권을 행사할 예정이다. 프로축구 14개 구단 가운데 시민구단 방식으로 운영중인 지역은 경남 인천 대구 대전 등 4곳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