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서산·태안주민 대표들이 지난달 충남 태안군 만대 포구에서 건설계획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태안참여연대 제공
환경성 조사 설명회 앞두고, 반대쪽 “백지화” 주장
찬성쪽, “설계 바꿔 부작용 줄어…반대 일부일 뿐”
찬성쪽, “설계 바꿔 부작용 줄어…반대 일부일 뿐”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첫 일정인 사전 환경성조사 설명회가 오는 27일 충남 서산·태안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과 찬성 쪽 주민들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충남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반대투쟁위원회는 20일 국토해양부 앞에서 조력발전소 건설 반대 집회를 열어 “조력발전소가 건설되면 가로림만 해수 교환율이 낮아져 오염되고 서해 어패류 산란장 및 어장이 황폐화될 것”이라며 “주민 피해와 어민 소득 감소가 우려되는 발전소 건설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반대투쟁위는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는 만 입구를 막는 둑을 쌓고 바다와 만의 낙차를 이용해 일종의 인공폭포를 만들어 발전하는 방식”이라며 “가로림만에 바닷물이 충분히 드나들지 못하고 개펄이 물에 잠기면 어패류 산란장 기능이 많이 줄어들어 어획량이 줄고 담수화에 따른 오염은 물론 홍수 등 민물 유입시기에는 침수 피해도 입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투쟁위는 “서산수협 산하 48개 서산·태안 어촌계 가운데 찬성하는 곳은 6곳뿐이며 32개 어촌계와 서산·태안 주민 2만6천여명이 반대서명을 했다”며 “조수간만의 차가 적은 시기 등을 감안하면 발전 용량도 서부발전이 밝힌 시간당 520㎿보다 크게 낮은 72㎿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조력발전소는 환경 재앙만 부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조력발전소 건설에 찬성하는 보상대책위원회는 지난주 국토해양부를 방문해 발전소 건설과 관련해 보상을 원하는 800여명의 위임장을 제출하고 조력발전소가 건설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보상대책위와 서부발전 쪽은 “처음에는 반대하는 주민들이 많았으나 설계를 변경해 해수 교환율은 높이고 개펄 침수지역을 최소화해 최근에는 어촌계장 등 일부 어민이 반대할 뿐 찬성하는 주민들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
서부발전 쪽도 “발전소가 건설되면 가로림만이 녹색에너지 성장의 거점이자 관광산업이 발전하고 가로림만의 조개 등은 수량이 크게 늘어나 소득도 줄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섭 반대투쟁위원장은 “보상대책위와 서부발전이 어업 전업자들이 아닌 맨손어업 신고자들의 위임장을 찬성 근거로 삼아 발전소 건설을 강행한다면 앞으로 발생할 모든 사태는 민민갈등을 방치한 정부 책임”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서부발전은 27일 설명회에 이어 국토해양부로부터 발전소 건설을 위한 공유수면매립허가를 받아 주민 보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서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편, 서부발전은 27일 설명회에 이어 국토해양부로부터 발전소 건설을 위한 공유수면매립허가를 받아 주민 보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서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