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청 별관문제 해결을 위한 10인 대책위 활동 일정
27일까지 의견수렴-TV토론 3차례-7월 8~10일 여론조사
옛 전남도청 별관문제 해결을 위한 10인 대책위원회가 의견수렴, 시민토론, 여론조사를 단계적으로 펼치는 일정을 마련했다.
10인 대책위는 8일 “박광태 광주시장 등 10인 대책위 간사 3명과 정수만 5·18유족회장 등 5월단체 농성단 대표 3명이 만나 시민의견을 듣기 위한 일정을 짰다”고 밝혔다.
우선 27일까지 20일 동안 시민단체 언론기관 지역주민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조정안 작성을 시도한다. 조정안이 성사되지 않으면 6월29일, 7월3일, 7월6일 세차례 텔레비전 토론회를 진행해 시민들한테 문화전당의 설계와 별관보존 논리 등을 알린다. 이어 7월8~10일 사흘 동안 방송3사가 주관하는 광주시민 여론조사를 펼친다. 여론조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관 선정, 설문 구성, 표집 선정 등 조사방법은 따로 논의한다.
대책위는 7월14일 문화부 추진단, 5월단체 농성단 등지와 협의를 거친 뒤 15일 해결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해결 방안에는 △별관 원형 존치 △별관 부분 철거 △별관 전면 철거 △상징물 건립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5·18 유족회와 부상자회는 “여론조사를 하기 전에 각계각층의 의견을 들어 합의안을 도출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10인 대책위가 중립적이어야 하고, 문화부 추진단도 합의안 수용을 약속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5·18 당시 시민군 지도부였던 시민학생투쟁위원회가 이날 옛 전남도청의 원형 보존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해 합의의 다른 변수로 떠올랐다. 김종배 전 국회의원과 황세연 중원문화 대표 등 이 단체 회원 20여명은 “옛 전남도청 별관은 당시 총탄의 흔적이 남아있고, 희생자의 디엔에이(DNA)가 남아있는 공간”이라며 “다소 비용이 들고 시일 걸려도 설계를 변경해 원형대로 지키는 것이 희생자들에 대한 예우이고, 역사에 책임있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