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일부 학교들이 피아노 서랍장 따위 교구를 사들이면서 터무니없이 높은 값을 치러 뒷돈거래 의혹을 사고 있다.
광주시의회 김순례 의원(민주)은 지난달 31일 시정질문에서 “각급 학교에 납품된 교구가 동일 품목인데도 계약방식과 납품업체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었다”며 “교육계 안팎에 나도는 납품비리 의혹에 대해 부패방지위와 감사원에 진상 조사를 맡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2003~2004년 교구납품 자료를 확인해보니 납품업체 상당수가 이름만 있고 실체가 없는 ‘가방회사’인데다 교구값도 고무줄처럼 늘었다줄었다 했다”며 “각계각층이 참여한 공동조사단을 설치해 비리를 막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ㅂ초등은 지난해 420×580×570㎜ 규격인 3단짜리 이동서랍을 6차례에 구입했다. 한차례는 경쟁입찰, 나머지는 수의계약이었다. ㅍ업체와 ㄱ조합은 똑같은 제품으로 시방서를 냈지만 납품값은 16만5000원과 23만9000원으로 7만4000원 차이가 났다. ㅅ중학도 같은 서랍을 23만9000원에 사들였다.
ㅅ중학은 지난해 도서실에 설치할 벽면 티브이장식장을 외부 거랫값보다 3배 정도 높은 313만6000원에 사들인 뒤 도서실 내부장식을 추가로 요청했다. ㅅ중학은 또 피아노를 408만원에 납품받았지만 다른 업체는 330만원과 340만원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시교육청에 납품한 업체 상위 64곳 가운데 11곳이 이름만 있고 실체는 모호한 가방회사일 것”이라며 “명목뿐인 회사가 고무줄 가격에 납품을 하는 것은 학교 안에 비호자가 있기 때문”이라고 따졌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 쪽은 “학부모들의 고발로 경찰이 수사중인 만큼 행정기관이 개입하기 어렵다”며 “수사 결과가 나오면 감사를 벌여 해당자를 문책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