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충북지사가 21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 종합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충북도청 제공.
정총리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시기 상조” 못박아
충북도 ‘6조5천억 복합단지 계획’ 가시밭길 예고
충북도 ‘6조5천억 복합단지 계획’ 가시밭길 예고
충북도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오창 과학산업단지 등에 조성하려는 의료·건강·교육 복합형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오송 의료 녹색도시)가 세종시에 막혀 출발부터 삐걱대고 있다.
충북도는 21일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기에 활성화하고 연관 기업을 유치해 세계적인 의료 복합단지를 만드는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 종합 계획을 수립·발표했다.
세종시 접경 10㎞ 안팎에 추진되고 있는 오송 의료 녹색도시 계획을 보면, 올해부터 2012년까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안 16만5천㎡에는 1조원을 들여 오송 의료 벤처 마을 등을 조성한다. 이곳에는 지난해 말 충북도가 투자유치의향서를 체결한 미국 마이애미대학 당뇨신약연구센터, 심장병 내분비 연구센터, 의료 국제 회의장 등을 만들 계획이다.
고속철도 오송역 주변 158만4천㎡에는 내년부터 2017년까지 4조원을 들여 의료 관광객 100만명을 맞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오송 건강 요양 마을을 세울 참이다. 이곳에는 다국적 제약사, 보험사, 미국 에모리 대학 분교, 천연약재 박물관, 건강 전문 방송사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오창단지 66만㎡에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1조5천억원을 들여 우주 항공·해양 과학 등을 아우르는 특수목적학교 등 유치원에서 대학에 이르는 오창 교육 마을을 세울 참이다.
이 모든 계획의 전제 조건은 경제 자유구역 지정이었다. 경제 자유구역이 지정돼야 규제완화, 외국 기업·교육기관·병원 유치 등이 원활해져 사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운찬 총리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으면서 충북도가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정 총리는 23일 <청주문화방송>에서 열린 충북언론인클럽 초청토론회에서 “전국 6곳에 지정된 경제 자유구역도 제 역할을 못해 재평가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재평가 뒤에 검토해 볼 수는 있지만 지금은 시기상조”라고 못을 박았다. 또 “오송·오창은 세종시 피해지역이 아니라 수혜 지역이며, 충북에 뭘 만들어주겠다는 등 충북을 위한 발전안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승훈 충북도 정무부지사는 25일 “지난해 6월 경제자유구역 신청하고, 도지사 등이 여러 경로로 필요성을 설명해 긍정적인 답을 얻은 뒤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 조성을 추진했는데 배신감과 함께 총리의 충북 민심 인식이 우려된다”며 “결국, 경제 자유구역 지정이 안 되면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도 세종시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