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3권 제한…채권단, 조건없이 정상화시켜야”
대책위 구성 “정리해고 철회때까지 끝장 투쟁”
대책위 구성 “정리해고 철회때까지 끝장 투쟁”
기업개선(워크아웃)을 진행중인 금호타이어의 노조가 채권단이 요구한 쟁의포기 동의서의 제출을 거부하고 강경투쟁을 예고했다.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금호타이어지회는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채권단이 요구한 동의서와 회사쪽이 제안한 올해 임단협안을 두고 강경한 태도를 밝혔다.
노조는 “조합원 1337명을 정리해고 하겠다는 방침을 철회하지 않으면 채권단과 경영진의 요구를 일절 수용하지 않겠다”며 “대의원 만장일치로 쟁의행위를 결의하고 쟁의대책위를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무리한 인수합병과 뒤늦은 시장대응으로 경영위기를 자초한 금호 사주일가는 즉각 퇴진해야 한다”며 “채권단은 조건없이 운영자금을 투입해 공장을 정상화하고 협력업체를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채권단이 사주 쪽의 사재출연 확약서를 받고 노조 쪽에 구조조정 동의서를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이 동의서에는 노동3권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겨 현재 단계로에선 서명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노조는 “정리해고 없이도 경영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노조의 판단”이라며 “구조조정을 철회하지 않으면 마지막 한 명까지 끝장 투쟁을 펼치겠다”고 다짐했다.
한 노조 간부는 “동의서와 임단협을 안건으로 다룬 대의원대회에서 정리해고에 맞서기로 결의했다”며 “조합원 4000명의 생존권 보장과 고용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산업은행 채권단은 지난 9일 금호 사주일가가 차일피일 미뤄오던 사재출연을 약속하자 금호타이어에 신규자금 1천억원을 지원하고 3천만달러의 신용장을 개설하는데 합의했다. 다만 전제 조건으로 노조의 동의서를 요구했다. 이 동의서는 채권단의 구조조정 요구를 조건없이 수용하고, 생산차질을 초래하는 쟁의행위는 일절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채권단이 노조 동의서가 없이 설 이전에 운영자금을 집행할 것인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광주·전남지역 주민들이 금호타이어 구매운동을 펼치는 등 전방위에서 압박이 강하기 때문이다. 또 금호타이어 광주·곡성·평택 공장 임직원 5000여명은 두달치 임금을 받지 못했고, 금호타이어 협력업체 200여곳도 6000억원을 결제받지 못한 상황이어서 운영자금 투입을 앞당겨야 한다는 바람이 간절하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