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본점서 긴급자금 투입 촉구대회 열어
본사·노동부앞 임금지급·경영진 퇴진시위 계획
본사·노동부앞 임금지급·경영진 퇴진시위 계획
금호타이어 노조가 채권단한테 동의서를 제출하는 대신 장외투쟁에 나섰다.
전국금속노조 금호타이어지회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조합원 150여명이 참여하는 ‘금호타이어 정상화를 위한 긴급자금 투입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노조는 “기업개선(워크아웃)에 나선 산업은행 채권단이 노동3권을 포기한다는 ‘항복문서’를 요구하며 운영자금을 투입하지 않고 있다”며 “노예 계약서나 다름없는 동의서를 종용하지 말고 조건없이 운영자금을 투입해 공장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오는 19일 서울 금호아시아나 본사 앞에서 밀린 임금 지급과 무능 경영진 퇴진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노조는 이미 김종호 금호타이어 사장을 임금을 체불한 혐의로 광주지방노동청에 고발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사쪽이 임직원 5000여명에게 주지 못한 임금은 두달치 급여, 1월 상여금·연차수당 등 600억여원으로 추산된다.
노조는 또 24일께 노동부 앞에서 구조조정 철회와 밀린 임금 청산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여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민영선 수석부지회장은 “사주 일가가 대우건설과 대한통운을 무리하게 인수하려다 경영난에 봉착했는데도 채권단과 경영진이 노동자한테만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며 “공장 정상화를 바라지만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사쪽은 임단협 과정에서 지난 11일 △정리해고 371명대신 상여금 300% 삭감 △인력은 자연결원과 명예퇴직으로 감축 △단계적 도급화 추진 등을 담은 수정안을 제안했다.
노조 쪽은 “수정안에도 조합원 1006명을 비정규직인 도급으로 바꾸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며 “기업개선을 빌미삼아 멋대로 인력을 줄이려는 시도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업무지원팀 이동호 과장은 “원자재 부족으로 지난달 19일부터 광주·곡성·평택 공장이 15% 감산체제를 유지해왔다”며 “운영자금 투입이 늦어지면 급여 지급일과 원자재 고갈이 겹치는 27일이 가동 중단을 가늠하는 고비”라고 걱정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금호타이어 업무지원팀 이동호 과장은 “원자재 부족으로 지난달 19일부터 광주·곡성·평택 공장이 15% 감산체제를 유지해왔다”며 “운영자금 투입이 늦어지면 급여 지급일과 원자재 고갈이 겹치는 27일이 가동 중단을 가늠하는 고비”라고 걱정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