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대표 “소수정당 진입 차단 잘못” 사과
시민단체도 “선거구 3분의 1은 공천 말아야”
시민단체도 “선거구 3분의 1은 공천 말아야”
민주당이 광주시의회에서 경찰력을 동원해 기초의원 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쪼갠 뒤 안팎에서 불어닥친 후폭풍에 직면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22일 광주시의회의 기초의원 4인 선거구 분할을 두고 “(선거구 쪼개기로) 소수정당의 진입을 막은 것은 잘못됐다”며 “한나라당이 그렇게 한다고 민주당도 똑같이 해서야 되겠느냐”고 말했다.
민주당 중앙당은 조례안 처리를 놓고 비판이 거세지자 2인 선거구 중 일부에 후보를 1명만 내는 ‘제한 공천’을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는 한나라당의 기초의원 소선구제 도입을 막고, 지방선거에서 야권 연대를 모색하기 위한 정치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중앙당 쪽은 “당헌 당규에 기초의원 공천권은 시·도당에 있지만 공천후보의 인준은 최고위나 당무위에서 한다”며 “4인 선거구 분할을 보완하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면 설득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들이 결성한 지방선거 연대조직인‘광주 희망과 대안’은 이날 광주와이엠시에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은 광주·전남지역 광역의회 선거구의 3분의 1을 무공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희망과 대안은 “광주의 선출직 공직자를 독점하다시피한 민주당이 기초의원 4인 선거구마저 없애버려 소수세력의 진출과 독점구도 시정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며 “광역의회에서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의석 중 3분의 1은 비민주당 출신 정치세력들에게 할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주당 광주시당은 “4인 선거구 분할 이후 중앙당의 특별한 지침은 없었다”며 “시민단체의 무공천 요구는 무리하고 비현실적이다”라고 반응했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지난 18일 광주시의회에서 시민단체의 저지시위를 경찰력으로 봉쇄한 뒤 기초의원 선거구 조례안을 통과시킨 뒤 기초의원 예비후보자 자격심사를 진행 중이다. 4인 선거구 6곳이 쪼개지면서 광주시의 기초의원 선거구는 2인 선거구 16곳, 3인 선거구 9곳 등 25개 선거구로 획정됐다. 이후 민주당 광주시당에 1차로 자격심사를 신청한 기초의원 예비후보는 △동구 14명(의원정수 7명) △서구 20명(〃 11명) △남구 30명(〃 10명) △북구 23명(〃 18명) △광산 28명(〃 13명) 등 모두 115명에 이른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