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상급단체 변경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
“통합 산별노조로”…시, 징계 등 탄압 예고
“통합 산별노조로”…시, 징계 등 탄압 예고
광주시공무원노조가 민주노총 산별조직인 전국공무원노조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시공무원노조는 14일 “상급단체를 공무원노조총연맹(공노총)에서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로 바꾸기 위한 조합원 투표를 일주일 뒤인 21~22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투표에 조합원 1409명의 과반수가 참여해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상급단체 변경이 결정된다.
앞서 노조는 지난 5일 운영위에서 조직형태 변경을 제안한 뒤 12일 대의원대회에서 찬성 46표, 반대 23표로 조합원 투표 시행을 의결했다.
노조는 “정부가 2년 동안 단체교섭 합의사항을 무시하고 구조조정·인력감축·임금동결 등을 단행하면서 근로조건이 급격하게 나빠졌다”며 “이런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조직에서 탈퇴해 통합된 산별노조에 가입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종욱 위원장은 “정부는 공무원 노조를 길들이고 싶어하지만, 조합원들은 ‘밥그릇만 챙기는 노조’라거나 ‘영혼이 없는 공무원’이라는 오해에서 벗어나고 싶어한다”며 “5·18 30돌을 계기로 광주시 공무원이 앞장서서 대통합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전공노는 아직 설립신고가 되지 않은 불법노조”라며 조합원을 상대로 투표 불참과 반대 투표를 설득하는 등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시는 “전공노에 가입하기 위해 벌이는 조합원 투표가 적법한지 행정안전부에 질의를 해놓았다”며 “불법노조에 가입하면 곧바로 사무실 폐쇄와 집행부 징계가 뒤따르게 된다”고 덧붙였다.
최현주 시 자치행정국장은 “전공노에 가입하면 노조운영의 자율성이 훼손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고 보조금, 교부세, 총액 인건비 등이 줄어들고 조합원이 신분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국의 공무원 노조원 21만명 중 13만명은 진보성향의 전공노, 4만명은 보수성향의 공노총에 가입됐다. 나머지 4만명은 개별노조로 남아있다. 전공노는 지난해 민주공무원노조, 옛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노조 등 3개 단체가 통합해 결성됐다. 전공노는 지난해 12월1일, 12월21일, 올해 2월25일 노동부에 설립신고서를 냈으나 세차례 모두 반려처분을 받았다. 광주시노조가 전공노에 가입하면 16개 광역단체에서 복수노조가 아닌 단일노조로는 처음으로 들어가는 사례가 된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최현주 시 자치행정국장은 “전공노에 가입하면 노조운영의 자율성이 훼손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고 보조금, 교부세, 총액 인건비 등이 줄어들고 조합원이 신분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국의 공무원 노조원 21만명 중 13만명은 진보성향의 전공노, 4만명은 보수성향의 공노총에 가입됐다. 나머지 4만명은 개별노조로 남아있다. 전공노는 지난해 민주공무원노조, 옛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노조 등 3개 단체가 통합해 결성됐다. 전공노는 지난해 12월1일, 12월21일, 올해 2월25일 노동부에 설립신고서를 냈으나 세차례 모두 반려처분을 받았다. 광주시노조가 전공노에 가입하면 16개 광역단체에서 복수노조가 아닌 단일노조로는 처음으로 들어가는 사례가 된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