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암산 공원 내 김재균 의원 토지 위치
주차장 조성용 면적보다 17배 많은 땅 26억에 사들여
시 “일괄매수 요청따라”…김재균 의원 “압력 없었다”
시 “일괄매수 요청따라”…김재균 의원 “압력 없었다”
광주시가 긴요하지도 않은 근린공원 주차장을 조성하려고 애초 주차장 면적보다 17배 많은 국회의원 소유토지를 매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광주시는 22일 “올해 안에 31억원을 들여 북구 동림동 운암산 공원에 주차장 58면을 조성하겠다”며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거나 높이 131m인 운암산에 오르는 이들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1985년 지정된 공원 면적 114필지 35만2000㎡ 중 민주당 김재균 의원(광주 북을) 등 2명이 공동 소유한 임야와 논 7필지 3만5713㎡를 3차례로 나눠 26억여원에 사들였다.
시는 1차로 지난해 10월 4억원으로 공원 주차장 터인 동림동 산 37-54, 산 34-4 등 2필지 2076㎡를 사들였다. 이어 2차로 지난 4월 15억원에 주차장 터와 맞붙은 산 34-13과 산 36-3 등 2필지 2만8597㎡를, 3차로 지난 21일 6억9000만원에 이곳에서 100m 이상 떨어진 논 동림동 20 등 3필지 4677㎡를 매입했다.
올해 매입한 토지들은 주차장 조성과는 관련이 없는 임야와 논이지만 공익사업 토지의 취득과 보상에 관한 법률의 조항에 따라 잇따라 보상이 이뤄졌다. 이 법률에는 ‘동일 사업지역 안에 동일인 소유의 토지가 여러개 있을 때 소유자가 요구하면 일괄보상한다’는 조항이 담겼다.
이 때문에 시의 주차장 사업비는 애초 토지비 4억원, 시설비 3억원 등 7억원에서 31억원으로 4.4배 늘어났고, 매입 면적은 처음보다 17배가량 많아져 입길에 올랐다.
시 쪽은 “주차장 터를 사들이는 협의 과정에서 소유자 쪽이 감정값이 지나치게 낮다며 대신 공원 안의 다른 토지도 일괄매수해달라는 뜻을 전해왔다”고 밝혔다.
김 의원 쪽은 “해당 토지는 1976년 부친한테 물려받았고, 시에 토지를 사달라거나 사업을 추진하라고 압력을 행사한 적이 전혀 없다”며 “보상값이 낮아 이득이 없었는데도 뭔가 특혜가 있는 것처럼 비쳐져 억울하다”고 해명했다.
이를 두고 주민들은 “낮은 동네 공원이어서 외지인들이 차를 타고 오는 일이 거의 없고, 복지관에서 멀고 경사가 져 장애인들이 차를 세우기도 불편하다”며 “별로 시급하지 않은 주차장을 만들기 위해 국회의원 땅만 골라서 매입했으니 의혹을 살 만하다”고 꼬집었다. 이런 사실은 광주시의원 선거 과정에서 민주당 경선 탈락자와 무소속 시의원 낙선자가 “운암산 공원 토지 매입에 국회의원이 압력을 행사하고 현역 시의원이 이를 도왔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를 두고 주민들은 “낮은 동네 공원이어서 외지인들이 차를 타고 오는 일이 거의 없고, 복지관에서 멀고 경사가 져 장애인들이 차를 세우기도 불편하다”며 “별로 시급하지 않은 주차장을 만들기 위해 국회의원 땅만 골라서 매입했으니 의혹을 살 만하다”고 꼬집었다. 이런 사실은 광주시의원 선거 과정에서 민주당 경선 탈락자와 무소속 시의원 낙선자가 “운암산 공원 토지 매입에 국회의원이 압력을 행사하고 현역 시의원이 이를 도왔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