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문 시의원 지원조례 제안
사회의 무관심 속에 빈민가로 전락해 가는 영구임대 아파트를 자족형 공동체로 되살리자는 제안이 나왔다.
정병문 광주시의원(비례·민주)은 13일 시정질문에서 “광주시가 영구임대 아파트 10개 단지 1만3997가구를 지어 집 없는 빈곤층에 거주지를 제공했다는 생각에 안주해 있다”며 “이러는 사이 영구임대단지는 교사와 경찰이 전근 가는 것을 꺼릴 정도로 교육·치안·문화·보건 등 여러 분야에서 차별과 소외를 당하는 ‘도심 속의 섬’으로 전락해버렸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영구임대단지가 빈곤과 차별이 대물림되는 슬럼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거주민 구성, 아파트 보수, 관리비 지원, 복지시설 설치, 문화공간 확충 등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며 “영구임대아파트 지원조례를 만들어 예산과 인력의 투입을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이 조례에는 주민의 자활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공동전기료 면제, 관리비 일부 지원, 사회적 기업 창립, 개별난방 채택 등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거주자 중 기초생활 수급자 비율을 70%로 제한하고, 30%는 자활 능력이 있는 젊은 가구의 입주를 권장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차상위계층과 다문화가정 등이 입주해 주민 구성이 다양해지면 도시락 배달, 반찬 서비스, 공부방 운영, 단지안 청소 등을 분담해 자족형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급 부족을 두고는 “현재 입주 대기자가 7465명이고, 입주까지 평균 3년을 기다려야 한다”며 “부적격 입주자의 퇴거를 유도하고, 재개발지역에 저가주택을 만들어 수요를 분산시킬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정선수 시 복지건강국장은 “영구임대단지 주변 사회복지관과 자활센터를 활용해 자활근로사업을 펼치겠다”고 답변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