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우라늄 광산 위치도
지경부 현장실사 반발…비대위 “인삼·깻잎 산지 망쳐”
충남 금산 우라늄광산 개발을 놓고 주민 반대가 확산되고 있다.
지식경제부 광업조정위원회는 27일 오전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 우라늄광산 개발허가 신청지역에서 현장 실사를 벌였다. 이날 실사단은 토자이홀딩스㈜ 등이 충남도의 개발불허 결정에 불복해 지난 5월31일 행정심판을 낸 데 따른 것으로, 광업조정위원회 조사관 등 전문가 5명으로 꾸려졌다.
실사단은 현장조사를 통해 충남도의 불인가 결정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게 되며, 지경부 광업조정위원회 행정심판은 늦어도 12월 초 열릴 예정이다.
이에 대해 금산 우라늄광산개발저지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우라늄광산 개발예정지 앞에서 군의원,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산개발저지 집회를 열어 개발 중단을 촉구했다. 비상대책위는 “금산에 우라늄광산이 개발되면 환경오염 등으로 우리나라 인삼 대표경작지인 금산의 위상과 깻잎 등 지역 청정 농산물 경쟁력이 떨어져 농민 생존권을 위협할 것”이라며 “이미 외국에서도 우라늄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있는 만큼 우라늄광산 개발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서는 금산군의원 8명이 삭발했으며, 주민들도 광산 개발 백지화를 요구하며 실사단과 정부를 비난했다. 김복만 군의장은 “대한민국 인삼의 80%가 가공 유통되는 금산군에 우라늄광산이 개발되면 지역특산품인 인삼·깻잎·한우가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먹고살 기반이 무너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신동우 광산개발저지 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들이 우라늄은 핵무기 원료라고 알고 있는데 광산이 개발되면 지역 농산물은 판로를 잃어 금산이 황폐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