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등 시민단체 ‘버스 교통망 중심’ 대안 제시
광주시가 도시철도 2호선 추진 의지를 밝히자 시민단체들이 ‘비용은 축소되고 편익은 부풀려졌다’며 건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참여자치21·광주경실련·광주환경련 등 시민단체 3곳은 13일 오후 성명을 통해 “시가 2호선 건설비용은 축소하고 편익은 부풀리는 등 관련 정보를 왜곡한 의혹이 있다”며 “타당성 검증과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2호선 추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광주의 건설비가 지상 고가 경전철로 41.7㎞를 놓는 데 1조7394억원인 것은 의정부·과천 등지에 견줘 지나치게 낮게 책정됐다”며 “반면에 수송 분담률과 승객 수요예측은 과대평가해 타당성을 판단하는 데 영향을 줬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어 “수송 분담률이 2%에 불과한 1호선은 아직도 갚아야 할 건설부채가 700억여원, 연간 운영적자가 500억원에 이르러 재정을 압박하고 있다”며 “1호선도 타당성이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했지만 예측이 빗나가면서 폐해를 시민들이 떠안게 됐다”고 걱정했다.
이들은 “2호선 예비타당성 결과는 국비 지원을 위한 절차일 뿐 재정·교통·환경 분야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라며 “울산도 도시철도 1호선 추진이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시민여론을 들어 중단한 전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려면 도시철도를 추가로 건설하기보다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대중교통망을 정비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오미덕 참여자치21 사무처장은 “도시철도 사업이 편익은 부풀려지고 문제는 가려졌다”며 “시가 2호선을 중단하지 않으면 공청회와 토론회를 열어 실상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광주시당은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어가는 2호선 사업이 강운태 시장의 말 한마디에 좌지우지돼서는 안 된다”며 “2호선이 필요한지를 두고 시민이 두루 참여하는 논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인봉 시당 정책실장은 “2호선 추진에 반대할지는 한국개발연구원의 타당성 보고서를 분석한 뒤 결정할 방침”이라며 “2호선을 추진한다 해도 고가나 지하 방식은 반대한다”고 당 분위기를 전했다.
진보신당 광주시당도 “재정 부담과 미관 훼손이 우려되는 2호선 건설에 반대한다”며 “시내버스를 중심에 두고 대중교통망을 짜는 데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시가 추진중인 도시철도 건설위원회 구성과 시기·방식 재검토는 앞날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