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 활성화 포기했나 비판 나와
시민단체·국악계 “중구 문화예술거리와 멀다” 재심 촉구
시민단체·국악계 “중구 문화예술거리와 멀다” 재심 촉구
대전시가 국악전용공연장을 서구 둔산동 둔산문예공원에 짓기로 잠정 결론내린 사실이 확인됐다. 시민단체와 국악계 일부 인사들은 대전시가 구도심 활성화를 포기했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국악전용공연장을 둔산동 평송청소년수련원 옆 시유지에 짓기로 결론내렸다고 20일 밝혔다. 국악공연장은 건물면적 9900여㎡ 규모로 450억원의 예산이 든다. 시는 중구 안영동 장수마을 인근, 서남부권 호수공원 조성예정지 등에 국악공연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장수마을 인근은 공원지역에 묶여 있고, 호수공원 주변은 부지매입비가 280억원에 달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대신 시는 문화·예술 부문에서 소외되는 구도심에 11억원을 들여 예술단체들의 사무·창작공간을 지원하고, 대흥·은행동 문화예술의 거리에는 각종 공연과 전시, 예술품거래 시장을 육성하는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부지매입 부담도 크고, 국악인들이 공연장 입지 조건으로 관객수를 꼽았다”며 “국악공연장이 이곳에 지어지면 대전문화예술의전당 등과 갑천호수공원, 엑스포과학공원, 한밭수목원을 돌아보는 문화관광상품 개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민사회단체와 국악계 인사들은 구도심 활성화 정책을 되돌리고 동구와 중구주민의 문화 형평성 및 기회를 빼앗는 결정이라며 재심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악인들은 애초 염홍철 시장에게 국악공연장 건립을 제안하면서 구도심이 적당하다고 밝혔는데, 둔산에 공연장을 짓는 것은 국악인들과 구도심 주민의 바람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항의했다.
한 국악인은 “450억원이면 구도심 어디든 근사한 국악공연장을 지을 수 있다”며 “관객이 찾는 문화예술 시설이 모두 둔산동에 집중된다면 구도심 활성화 사업 자체가 흔들려 중구의 문화예술 거리 조성사업이나 목척교 복원사업 등이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금홍섭 사무처장은 “국악전용공연장 입지는 대전시 전체 시민의 문화예술 기회와 주변지역 활성화 등 특수한 측면을 충분히 감안해 결정해야 한다”며 “대전시는 국악공연장 입지를 백지화하고 재논의하라”고 촉구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