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책위 “시민우롱…불매운동”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대형마트의 건축허가가 나자 곧바로 사업 터를 사들인 신세계 이마트를 향해 ‘시민을 속이고 우회 진출했다’며 불매운동을 벼르고 있다.
광주 매곡동 이마트 입점 저지 시민대책위는 27일 서구 광천동 이마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마트가 한해 동안 이어진 입점 논란 때는 뒤에 숨어 있다가 건축허가가 나자마자 입점을 공식화했다”며 “3자 이름으로 건축허가를 받고, 형식상 개발회사에 넘어간 사업 터를 사들이는 등 이중적인 행태와 부도덕한 상술을 보인 데 실망을 넘어 분노를 느낀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마트는 한달 전 다른 업체가 이면계약설을 제기하자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맞서고, 입점의사를 묻는 공문을 보내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치졸한 속셈을 감추어왔다”며 “시민을 우롱한 이마트의 계속된 거짓말은 거센 부메랑이 되어 돌아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곽근영 대책위 홍보팀장은 “돈벌이를 위해 속임수도 마다하지 않는 대기업의 횡포에 맞서 전면전을 선포한다”며 “학습권 침해와 교통난 심화 등 부작용은 아랑곳없이 무분별한 탐욕을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이런 파렴치한 우회수법을 시민한테 알리고 불매운동이나 동전계산 등 방법으로 소비자 주권운동을 펼칠 방침이다.
민주당 광주시당도 성명을 통해 “떳떳하지 못하게 숨어 논란을 피하다 이제야 실체를 드러낸 부도덕에 분노를 느낀다”며 “입점을 자진 철회하지 않으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천명했다.
앞서 사업 터 소유자인 샹젤리제 코리아는 지난 2월 지상 4층, 지하 3층, 연면적 2만4661㎡ 규모로 대형마트를 짓겠다고 건축허가를 신청했다가 상권보호를 이유로 불허되자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이 업체는 지난달 30일 건축허가가 난 뒤 소유권을 에스티에스(STS)도시개발에 넘겼고, 이마트는 지난 23일 이 사업 터를 에스티에스에서 사들여 입점의사를 공식화했다.
이마트 쪽은 “이전에는 입점을 추진하지 않았고 지난 10일 에스티에스가 낸 사업 터 매각공고를 보고 응찰했을 뿐”이라며 “우회 진출은 오해”라고 해명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