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국제교류·교육 등 전략 내놔…2014년 조성 목표
내일 진보·보수 등 시민단체 100여명과 토론회도
내일 진보·보수 등 시민단체 100여명과 토론회도
인권도시로 발돋움하려는 광주시가 평등·건강·생활·안전 등 시민의 사회권 신장과 사회적 소수자 배려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광주시는 21일 오후 2시 광주시 서구 치평동 광주엔지오센터에서 진보·보수·여성·5월·노동 등 분야별 시민단체 회원 100여명을 초청해 광주인권도시 추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을 듣는다. 이날 행사는 김재철 광주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이 기본계획안을 설명한 뒤 참석자들이 인권 개념을 토론하고 실천 전략을 제안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앞서 시는 18일 기본계획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어 △인권도시의 개념 △인권도시 전략 △인권도시 실천방안 △유엔 인권도시 지정 추진 등을 논의했다. 이 기본계획은 2014년까지 5·18의 경험과 정신을 활용해 광주를 경제·사회·환경적 차별이 없고, 삶의 질이 평등하게 보장되는 도시로 만든다는 데 맞춰져 있다. 시는 지난달 6440만원을 들여 광주발전연구원에 용역을 발주했고, 늦어도 5월 안에 공청회와 심의위를 거쳐 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안에는 인권의 개념을 국가 억압에서 자유로울 권리(자유권)뿐 아니라 국가에 의해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사회권)까지 확장해 인권지수화(계량화)를 시도한다는 방침이 들어 있다. 지수화 대상인 인권 분야는 건강권·생활권·안전권·노동권·생계권·평등권 등 7개에 이른다.
또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인권교육을 펼치고, 인권의 가치를 실천할 인력 양성과 제도 확충을 곁들인다. 밖으로는 5·18기념재단이 주는 광주인권상의 권위를 강화하고, 국제적 인권기구를 유치하는 방안도 세운다.
특히 국제인권시민연합(PDHRE·People’s Decade of Human Rights Education)이 지정한 인권도시인 오스트리아 그라츠, 아르헨티나 로사리오, 캐나다 에드먼턴 등지와의 교류협력을 강화한다. 1989년 설립된 국제인권시민연합은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두고 60여개 회원국에서 인권계몽운동을 펼쳐온 비영리 국제단체다.
더불어 5·18의 소중한 역사와 정신을 살리는 방안도 세우기로 했다. 광주교도소 이전 터에 민주인권평화센터를 건립하고, 광주가톨릭센터를 인권교류센터로 활용하는 계획을 검토한다. 5·18 인권길 조성, 국제 인권축제 개발, 뮤지컬·오페라 상시 공연 등도 구체화한다.
시 인권담당관실 김영남씨는 “세계인권선언, 유엔개발계획보고서, 국제인권조약, 국제앰네스티지침 등을 두루 검토해 인권도시의 상을 만들겠다”며 “인권도시가 되려면 차이를 존중하고, 약자를 배려하려는 시민의 의식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