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횡령 의혹에 주먹구구 상여금
한해 300여억원씩 들어가는 광주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보조금이 줄줄 새고 있다.
광주시는 9일 “준공영제 보조금 중 회사별 버스 보유대수에 따라 지원하는 관리직·정비직 인건비 일부가 부당하게 집행되고 있다는 의혹이 일어 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의혹이 불거진 동화운수에 조사반을 파견하고, 14~18일 10개 회사로 구성된 광주시내버스사업조합을 상대로 준공영제 운영실태를 감사할 예정이다.
동화운수는 2009~2010년 2년 동안 실제로는 근무하지 않은 김아무개씨를 임금대장에 올려놓고 다달이 120만원씩 2500여만원을 지출하는 등 인건비를 횡령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회사는 또 2007~2009년 해마다 두차례 주는 관리직·정비직의 특별상여금을 책정하면서 대표의 친인척인 특정부서 부장·차장·과장 등한테 다른 직원보다 114만원까지 많이 주었다가 원성을 샀다.
이를 두고 박제수 광주시내버스노조 위원장은 “이런 부당한 인건비 지출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행정의 관리가 형식에 그치고, 노조의 감시가 미치지 못하는 임원·관리·정비 부문 인건비에서 비리가 잇따라 터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반면 배병규 시 대중교통과장은 “동화운수에선 김씨가 정식 직원이고, 성과급은 차등 지급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며 “사실을 확인해 부당한 집행이 드러나면 환수하고, 관리 부문의 인건비·상여금 지급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2006년 12월 준공영제 시행 이후 2007년 196억원, 2008년 293억원, 2009년 288억원, 2010년 354억원 등 4년 동안 1131억원을 적자보전 보조금으로 지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