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북 교육청 “줄세우기 일제고사 막자”
과목·문제 선택권 넘겨…광주는 ‘공동출제’ 불참
과목·문제 선택권 넘겨…광주는 ‘공동출제’ 불참
광주, 전남·북 진보교육감들이 새학기 초에 치르는 초·중학생 진단평가의 시행·과목·문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학교장한테 넘겼다.
이는 해마다 강제적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전국 진단평가 결과가 지역·학교·개인의 서열을 매기는 자료로 활용되는 부작용을 막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광주, 전남·북 시도교육청은 “오는 3월8일 전국 초등학교 3~5학년, 중학교 1~2학년의 교과학습 진단평가가 이뤄질 계획”이라며 “이 진단평가와 관련한 결정을 학교장이 내리도록 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일선 학교장들은 진단평가를 시행할지, 국어·수학·사회·과학·영어 등 5개 과목 중 몇 과목을 치를지, 시도공통문제와 자체출제문제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달 시도 공동 진단평가를 주관한 인천시교육청에 공동평가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통보하고 분담금을 내지 않았다. 시교육청은 지난해 3373만원을 내고 진단평가에 일률적으로 참여했으나 올해는 학교 자율에 맡기기로 방침을 바꿨다. 분담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공동출제문제를 제공받지 못한다. 진단평가를 시행한다면 시교육정보원의 이(e)평가시스템 문제은행을 활용하거나 학교 자체적으로 출제해 시험을 치러야 한다.
전남도교육청은 이달 초 공동출제 분담금 4998만원을 내고 진단평가 공동출제문제를 확보한 상황이다. 학교장의 선택에 따라 진단평가를 시행할지, 공동문제를 활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광주보다는 학교장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지만 평가 방식이 바뀔 가능성은 적어진 셈이다.
전북도교육청도 전남과 마찬가지로 분담금 4998만원을 냈다. 공동출제문제를 시디(CD)로 받아 일선 학교에 파일형태로 공급할 예정이다. 인쇄를 해서 배포하면 진단평가를 시행하지 않는 학교에는 필요가 없어 낭비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북은 진단평가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수업시간에 교사 재량으로 학습지도 계획에 따라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전북은 지난해 3월에도 진단평가 참가여부를 학교장이 알아서 결정하도록 했다. 김지성 전북교육청 대변인은 “교육과학기술부나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시험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시도교육감끼리 협의해 결정하면 교과부에서 이에 대한 시정명령을 내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주관지역인 인천시교육청 쪽은 “6억원을 들여 과목당 30문항씩 객관식 문제 출제를 마쳤다”며 “광주·강원은 이미 불참하겠다는 통보를 해왔고, 전남·북, 경기 등지는 학교장한테 선택권을 주었기 때문에 올해 진단평가의 범위가 지난해보다 축소됐다”고 말했다. 안관옥 박임근 기자 okahn@hani.co.kr
하지만 전북은 진단평가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수업시간에 교사 재량으로 학습지도 계획에 따라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전북은 지난해 3월에도 진단평가 참가여부를 학교장이 알아서 결정하도록 했다. 김지성 전북교육청 대변인은 “교육과학기술부나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시험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시도교육감끼리 협의해 결정하면 교과부에서 이에 대한 시정명령을 내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주관지역인 인천시교육청 쪽은 “6억원을 들여 과목당 30문항씩 객관식 문제 출제를 마쳤다”며 “광주·강원은 이미 불참하겠다는 통보를 해왔고, 전남·북, 경기 등지는 학교장한테 선택권을 주었기 때문에 올해 진단평가의 범위가 지난해보다 축소됐다”고 말했다. 안관옥 박임근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