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전당 설계지침 훼손 가능성 있어
관련단체들 반발, 대책위 꾸리기로 문화관광부가 제시한 아시아문화전당 설계지침에 5·18희생자의 주검을 안치했던 상무관의 원형을 훼손할 가능성이 담기자 5월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5·18민주유공자동지회와 5·18기념재단 등 5월단체들은 30일 “문화관광부의 아시아문화전당 건립을 위한 설계지침은 전남도청 일원 5·18사적지들을 원형 보존하겠다던 애초 약속과 어긋난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5월단체들은 아시아문화전당 건립 터 일대 3만5746평 안에 있는 5·18민주광장과 분수대 등지의 원형이 유지되는 것은 환영하나, 상무관과 전남도청 부속건물, 전남경찰청 본관을 철거하는 데 동의할 수 없다는 태도를 밝혔다. 5·18민주유공자동지회는 이날 긴급이사회를 열고 △상무관은 반드시 원형으로 보존할 것 △전남도청 본관~민원실~전남경찰청 본관~전남도청 부속건물을 잇는 ㅁ자형 건물을 유지할 것 등을 결의했다. 또 이를 위해 10일까지 원형 보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중순 안에 ‘전남도청 일원 사적지 원형보존 대책위’를 꾸리기로 했다. 이성길 5·18민주유공자동지회 이사는 “유족회·부상자회·동지회 등 5월관련 3단체가 줄기차게 전남도청 일원 사적지 보존을 요구해왔으나 설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마찰이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사무처장도 “상무관은 5·18희생자의 주검이 태극기에 덮인 채 안치됐던 통곡과 분노의 공간”이라며 “숱한 역사와 사연이 깃든 대표적인 5·18현장이기 때문에 당연히 원형 보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1960년대 터 120평에 지상 2층 규모로 세워진 체육관 건물인 상무관의 원형 보존과 전남도청 건물의 보존 범위를 둘러싸고 문화관광부와 5·18단체들의 갈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문화관광부는 29일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국제건축설계경기 지침을 발표하면서 상무관의 원형 훼손 가능성을 포함시켰다. 문화관광부는 전남경찰청의 무도연습장인 상무관을 헐어낸 뒤 지상에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 기념공간을 조성하고, 지하에는 건물 전부 또는 일부를 남겨 이용하거나 철거할 수 있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문화관광부 쪽은 다만 “설계지침은 22일까지 설계자와 추진단이 협의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5·18 관련시설의 보존이나 철거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는 단서를 달았다. 문화관광부가 5월18일~6월27일 상금 7억4000만원을 걸고 모집한 설계공모에는 54나라에서 건축가 467명이 등록을 했다. 등록자들은 11월11일까지 설계지침에 따라 작품을 내야하고 당선작은 12월2일 발표된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관련단체들 반발, 대책위 꾸리기로 문화관광부가 제시한 아시아문화전당 설계지침에 5·18희생자의 주검을 안치했던 상무관의 원형을 훼손할 가능성이 담기자 5월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5·18민주유공자동지회와 5·18기념재단 등 5월단체들은 30일 “문화관광부의 아시아문화전당 건립을 위한 설계지침은 전남도청 일원 5·18사적지들을 원형 보존하겠다던 애초 약속과 어긋난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5월단체들은 아시아문화전당 건립 터 일대 3만5746평 안에 있는 5·18민주광장과 분수대 등지의 원형이 유지되는 것은 환영하나, 상무관과 전남도청 부속건물, 전남경찰청 본관을 철거하는 데 동의할 수 없다는 태도를 밝혔다. 5·18민주유공자동지회는 이날 긴급이사회를 열고 △상무관은 반드시 원형으로 보존할 것 △전남도청 본관~민원실~전남경찰청 본관~전남도청 부속건물을 잇는 ㅁ자형 건물을 유지할 것 등을 결의했다. 또 이를 위해 10일까지 원형 보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중순 안에 ‘전남도청 일원 사적지 원형보존 대책위’를 꾸리기로 했다. 이성길 5·18민주유공자동지회 이사는 “유족회·부상자회·동지회 등 5월관련 3단체가 줄기차게 전남도청 일원 사적지 보존을 요구해왔으나 설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마찰이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사무처장도 “상무관은 5·18희생자의 주검이 태극기에 덮인 채 안치됐던 통곡과 분노의 공간”이라며 “숱한 역사와 사연이 깃든 대표적인 5·18현장이기 때문에 당연히 원형 보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1960년대 터 120평에 지상 2층 규모로 세워진 체육관 건물인 상무관의 원형 보존과 전남도청 건물의 보존 범위를 둘러싸고 문화관광부와 5·18단체들의 갈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문화관광부는 29일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국제건축설계경기 지침을 발표하면서 상무관의 원형 훼손 가능성을 포함시켰다. 문화관광부는 전남경찰청의 무도연습장인 상무관을 헐어낸 뒤 지상에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 기념공간을 조성하고, 지하에는 건물 전부 또는 일부를 남겨 이용하거나 철거할 수 있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문화관광부 쪽은 다만 “설계지침은 22일까지 설계자와 추진단이 협의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5·18 관련시설의 보존이나 철거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는 단서를 달았다. 문화관광부가 5월18일~6월27일 상금 7억4000만원을 걸고 모집한 설계공모에는 54나라에서 건축가 467명이 등록을 했다. 등록자들은 11월11일까지 설계지침에 따라 작품을 내야하고 당선작은 12월2일 발표된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