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지역 하나의 생활권 묶어
아파트와 다양한 주택 짓기로
아파트와 다양한 주택 짓기로
옛길과 옛기억을 지우는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재건축 대신 생활권역별로 주거지를 정비·보존하는 종합정비사업이 서울 서남권에서 진행된다.
서울시는 강서·양천·영등포·구로·금천·관악·동작 등 서남권 7개구를 ‘주거지 종합관리계획’ 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관리계획 수립에 들어갔다고 9일 밝혔다.
주거지 종합관리계획은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재건축과는 차이가 있다. 단일지역, 단일사업장 위주의 개발사업이 아니라 일정 지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정비가 필요한 곳은 정비하되, 양호한 지역은 그에 걸맞은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방식이다. 주거유형도 획일화된 고층 아파트가 아니다. 주변 경관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단독·다가구·다세대 등 다양한 형태의 주거시설이 들어선다.
주거지종합관리계획으로 기존의 정비예정구역 지정은 폐지된다. 앞으로 10년간 정비사업을 추진할 예정지를 한꺼번에 선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생활권별로 정비와 보존 여부를 결정해 예정 절차 없이 바로 사업에 착수하게 된다. 종합관리계획에는 △도로 등 기반시설과 연계한 생활권 단위의 개발계획 △주거지 정비·보존·관리계획 △서민주거 멸실·공급 속도 조절 등의 내용이 담긴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으로 소규모 개발사업의 난립, 무분별한 단독주택지 파괴, 소형·저렴주택지 감소에 따른 서민 주거 불안 등 주택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 7월까지 서남권 주거지종합관리계획을 세우고, 이를 토대로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