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하철 내부 모습
공공교통 토론회서 “1호선 적자 심각…비용 낮춰야”
수요관리 중심 접근 주장도…대덕구선 “노선 소외” 반발
수요관리 중심 접근 주장도…대덕구선 “노선 소외” 반발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이 확정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2호선은 시 재정을 고려하고 수요관리 중심의 교통정책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4일 대전시청에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연 ‘대전시 도시철도 신설과 공공교통 활성화 대책 토론회’에서 박정현 대전시의원은 “대전시가 올해 갚아야 할 부채 1268억원 가운데 절반이 도시철도 1호선의 운영 적자를 메우기 위한 것”이라며 “감세와 경기불황 등으로 지방재정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도시철도 2호선은 재정 여건을 감안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교통 약자를 위한 복지, 환경적 측면에서 공공교통을 활성화하는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시의 재정자립도는 2006년 71.1%에서 2010년 54.7%로, 재정자주도는 80.6%에서 67.7%로 각각 하락했다”며 “대전시는 도시철도 2호선에 드는 재정이 얼마인지를 시민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동의를 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영 대전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1호선 운영적자가 230억원에 이르므로 2호선은 건설비와 운영비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최선”이라며 “2호선 건설은 승용차 중심의 대전 교통체계를 바꿀 수 있는 기회로 형평성과 접근성이 고려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도시철도의 필요성은 높지만 교각형은 도시를 가르고 지하철은 지하수 건천화 등 도시환경상 문제가 있고 건설비와 운영비 부담도 막대할 것”이라며 “환경과 예산, 소음, 경관 등 문제를 고려하면 노면전차 방식이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도시철도 문제는 먼저 도시교통 문제 해소에 있다. 수요관리 중심의 교통정책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대도시들이 도시철도 건설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이 떨어진 것은 전용차로제 확대 등 시내버스 이용 활성화 정책을 소홀히 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전시는 다음달 3일께 시민들을 대상으로 도시철도 2호선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연 뒤, 6월 말께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을 확정해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지난 11일 도시철도 2호선 노선을 진잠~서대전네거리~중리네거리~정부대전청사~유성네거리~진잠(37.2㎞) 순환형으로 잠정 결정했다.
한편 대전 대덕구는 25일 1호선 노선에 대덕구가 제외된 데 이어, 2호선에서는 대덕구를 경유하는 구간이 2.7㎞에 불과하다고 강력 반발했다. 대덕구는 중리네거리에서 법동동부경찰서~읍내동삼거리~회덕동주민센터~대화조차장~대전산업단지~평송수련원~정부대전청사를 경유하는 수정안을 제시하고 26일부터 노선 변경을 위한 시민서명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